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85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궤도선 '다누리' 장비로 24억광년 떨어진 '감마선 폭발'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폭발과 배경 감마선 등을 측정한다. '달 우주방사선 환경지도'와 물, 산소, 헬륨-3 등 달
표면
원소지도' 작성도 목표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다누리 자료공개 사이트에서 12월 7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김경자 센터장은 "행성 지질 탐사용 감마선분광기가 천문 관측에 기여한 첫 사례가 됐다"며 ... ...
"공기 중 수분 모아 물 만든다"…휴대용 물 수확기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대비 2배 이상 에너지 효율이 개선됐다. 수분이 응축되는 냉각핀을 순간 80도까지 가열해
표면
의 박테리아를 1분 내 살균하고 자연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필터로 정수하는 등 안정성을 검증받았다. 기존 ‘수분 포집 시스템’은 냉각식 제습기와 에어컨 같이 수분 과포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 ...
해상도 100배 빛 측정 센서 개발…정밀한 자율주행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이번 연구에서는 메타 샥-하트만 파면 센서의 개념 검증에 집중했는데 향후에는 메타
표면
의 우수한 빛 조작 능력을 활용해 초소형·다기능 메타 파면 센서를 개발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라이트:사이언스&어플리케이션'에 지난 12일 출판됐다. 장무석 ... ...
은 이용해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0으로 두고 원하는 반응에 사용된 전류가 그 중 얼마인지 측정하는 것을 뜻한다. 전극
표면
을 살펴보니 은을 전극에 넣었을 때 Li-NRR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불화리튬층이 두껍게 형성됨을 확인했다. 또한 전기화학분석을 통해 은과 리튬이 합금을 이루며 리튬 도금 및 박리와 ... ...
달에 조선 천문학자 이름 딴 '남병철 크레이터'…첫 한국 명칭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필요하다. 남병철 충돌구는 연구팀이 달 충돌구가 발생할 때 충격 에너지로 인한 달
표면
의 자기장 변화 연구를 진행하던 여러 충돌구 대상 중 하나였다. 연구팀은 IAU에 산타크루즈대와 함께 그간의 연구 내용을 정리해 제출했다. 또 한국우주과학회가 발간하는 학회지에 남병철에 관해 게재된 ... ...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숨어 있다. 물고기 로봇을 산화철(Fe3O4) 나노입자가 담긴 용액에 넣으면 로봇
표면
에 나노입자들이 달라붙는데 이것을 외부 자기장을 이용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원리다. (doi: 10.1021/acsnano.1c06651) ● 나노미터 로봇 자연 속에서 찾다 마이크로미터보다 더 작은 나노로봇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그 ... ...
엠폭스·코로나 재유행 양상…원인은 신종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있다. KP.3 변이는 올해 상반기 유행한 JN.1에서 유래한 변이다. JN.1보다 바이러스 단백질
표면
돌기에 있는 S단백질에 3개의 추가 변이를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회피 성향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전파력과 중증도 증가와 관련해 보고된 사례는 없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KP.3 ... ...
세계 최대 3D프린팅 주택단지 완공 '눈앞'…신속·효율·경제성 다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5
아이콘이 미국 텍사스 주에 만들고 있는 3D 프린팅 대규모 주택단지. 아이콘 제공 미국 텍사스주에 3D 프린팅 기술로 만드는 대규모 주택단지가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달
표면
에 착륙장, 대피소 및 기타 구조물을 건설할 계획이다 ... ...
두개골 열지 않고 주사기로 뇌신경 센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2mm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주사기로 주입할 수 있도록 했다. 수축했던 센서는 대뇌피질
표면
에 도달한 후 복원되며 6~12mm 크기로 확장해 뇌를 모니터링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동물 실험에서 뇌피질전도신호(ECoG)를 감지하고 뇌압, 뇌 온도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데 ... ...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단점이 있다. 덴드라이트는 리튬 일부가 음극재에 저장되지 않고 음극
표면
에 나뭇가지처럼 길쭉하게 쌓이는 형태로 크게 자랄 경우 폭발을 일으키는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진은 티안트렌 기반의 유기 리간드와 니켈 금속이온을 조합해 전도성 금속-유기 구조체 ‘SKIER-5’를 개발했다. 이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