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스페셜
"
특이
"(으)로 총 474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루궤이전, 니덤의 조수 혹은 스승
2019.05.09
일어나는 방식에 대한 견해는 분분했다. 홉킨스는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화학작용의
특이
성을 옹호하는 인물이었고, 산소의 부족이 근육에 락틱산을 누적시킨다는 등을 발견했던, 당시 가장 유명한 생화학자 중 한 명이었다. TCA회로. 위키피디아 제공 지금은 TCA회로 혹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노출된 적이 없었고 따라서 최근 유행에서는 20~40대 환자가 많이 나오고 있다.
특이
하게도 이 바이러스는 어린이보다 어른에게 더 위험하다. 여섯 살 미만의 경우 절반 이상이 무증상일 정도이지만 성인이 감염되면 간세포가 손상돼 황달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급성 간부전이 발생해 사망에 이를 ... ...
"중국 미세먼지 줄어도 한국 미세먼지 유입량 줄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농도를 측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평양의 농도를 측정한 자료를 공개했다. 김 교수는 “
특이
한 점은 북한은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평양에서 서울보다 미세먼지가 높은 분포를 보인다”며 “북한은 한국보다 중국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곳”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기체의 상전이 과정에서 열을 주고받는 걸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유연한 결정이라는
특이
한 고체에 압력을 변화시켜 냉매 역할을 하게 했다. 무척 낯선 개념임에도 꽤 흥미롭다. 냉매 하면 남극 오존층에 구멍을 낸 염화불화탄소(CFC)로 불리는 프레온이 떠오른다. 1987년 각국이 몬트리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많은 사람의 데이터를 통계처리한 결과이기 때문에 필자 한 사람의 사례가 아무리
특이
하더라도 언급할 가치는 없다. 그럼에도 이렇게 시시콜콜 얘기한 건 최근 타이밍 다이어트와 관련해 ‘뜻밖의’ 연구결과가 잇달아 나왔기 때문이다. 연초에 타이밍 다이어트를 적극 홍보한 필자로서는 모른 척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화석 속에 파편적으로 남아 있는 DNA를 해독해 복원한 ‘게놈 정보’로만 존재하던
특이
한 고인류였다. 고인류학계는 이번 두개골 파편 발견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 일부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작은 파편만 확보한 만큼, 이를 바탕으로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연관된 리뷰논문 여러 편을 실었다. 이 가운데 희토류 원소에 대한 리뷰에 눈길이 갔다.
특이
한 제목 때문이다. ‘희토류 원소: 멘델레예프의 골칫거리, 현대의 경이(Rare earth elements: Mendeleev’s bane, modern marvels)’다. 최근 희토류 원소의 쓸모가 점점 더 늘어나면서 이를 두고 ‘현대의 경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문질러 반점(기생충)을 떼어내려고 한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두 번째로 반복적인
특이
행동을 보이는가 여부다. 거울 앞에서 평소라면 결코 하지 않을 행동을 한다면 거울에 비친 게 자기임을 확인하는 과정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찰 결과 청소놀래기는 거울에 적응한 3일차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분자가 항원이다(오른쪽). ‘사이언스’ 제공 그런데 낙타 혈장에 전형적인 항체와 함께
특이
한 항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 항체는 Y자 모양으로 긴 사슬(heavy chain) 두 개와 짧은 사슬(light chain) 두 개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낙타 혈장에는 긴 사슬 두 개로만 이뤄진 작은 항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한편 학술지 ‘네이처 식물’ 10월호에는 게놈편집을 이용한 식용꽈리의 작물화라는
특이
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식물로 꽈리를 키우지만(보자기 같은 꽃받침이 달려 있는 꽈리 가지는 그림의 단골 소재다), 중남미의 몇몇 지역에서는 꽈리 열매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물론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