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스페셜
"
특이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주목을 받았다. 로저 펜로즈 박사와 함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에 입각한 ‘
특이
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고, 블랙홀이 열복사를 방출한다는 일명 ‘호킹 복사’를 이론적으로 입증한 것이 대표적이다. 호킹 박사는 영국 옥스퍼드대를 졸업하고 1965년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받지 못하면 그동안 눌려 있던 미미한 공감각 네트워크가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특이
하게도 이 책은 발문(afterword)으로 마무리되는데 나보코프의 아들 드미트리가 쓴 글이다. 여기서 그는 공감각과 관련된 아버지와의 일화를 몇 가지 얘기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특히 흥미롭다. 확실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그 가운데도 손에 꼽히지 않을까 싶다. 수년 전 필자는 잡지인가 인터넷인가에서
특이
한 사진을 봤다. 커즈와일의 얼굴과 함께 알약이 수백 개 있는 사진으로 그가 매일 먹는 영양제라는 것이다. 커즈와일은 매일 알약 150개를 먹는데(그나마 250개에서 줄인 것이다), 일 년 동안 먹는 영양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파스퇴르연구소의 자크 모노와 프랑수아 자콥이 제안한 개념이다. 이들은 대장균의
특이
한 생태에 주목했다. 평소 대장균은 설탕을 선호하는데 만일 설탕이 없고 젖당만 있는 환경에 놓이게 되면 처음에는 잘 못 자라다가 다시 잘 자라기 시작한다. 젖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70억 명 가운데 Aldh2 유전자변이형을 지닌 사람은 5억 4000여만 명으로 10%가 채 안 되는데
특이
하게도 동아시아에 몰려있다. 한중일 사람의 36%가 알데히드탈수소효소2(Aldh2)의 변이형을 갖고 있어서 술을 해독하는 효율이 떨어진다. 이런 사람들은 술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금방 벌게진다(오른쪽).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짧은 주둥이가 늑대나 코요테 같은 다른 개속(Canis) 동물과는 뚜렷이 다르기 때문이다.
특이
하게도 암각화에 등장하는 개 다수는 어깨나 가슴 쪽 돌을 깎지 않은 상태다. 이는 이 부분의 털 색깔이 다르다는 걸 부각시키기 위함으로 보인다. 그림 아래 사진 두 장은 암각화에 등장한 개다. 그림을 잘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될 만한 새로운 기술이 소개된다. 하지만 이 저널은 조금
특이
하다. 앞선 질문의 답이 해당 저널 제목에 등장한다. “Not so fast” 자동차 생산 기업과 IT 기업 등은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모두 자율주행자동차가 개발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주 신문에서
특이
한 기사를 봤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 이후 우리나라는 후쿠시마 및 인근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는 특별조치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에 일본이 반발해 201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고, 최근 1심 판결 결과가 우리 정부에 전달됐다는 것이다. 아직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각 조직에 맞는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하는 조직
특이
적 돌연변이에 대해 조사4)했습니다. 나머지 두 논문은 RNA 편집 과정2)과 X염색체 비활성화3)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했습니다. ※ 관련 자료 1) GTEx Consortium et al, Genetic effects on gene expression across human tissue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있다. 발원지인 중국보다 한국에서, 한국보다 일본에서 치사율이 더 높은 것도
특이
한 현상이다.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우연인지 아니면 균주의 차이 때문인지 아직은 모른다. 사실 SFTS뿐 아니라 진드기가 매개하는 질병이 지구촌 전역에서 늘고 있다. 기본적으로 진드기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고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