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통해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확대된 부분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높이 3500m의 산이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듬해 154.2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 2.73을 기록하고 11승을 거둬 일약 팀의 중심 투수로 도약했다.트래캡도 비슷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비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수비수보다 공이 떨어지는 지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해 안정적으로 공을 처리하는 선수를 기용할 수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소그로는 라이고처럼 클 필요가 없다. 백 교수는 소그로의 규모로 약 10~100m를 제안했는데, 4km에 이르는 라이고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다. 검출하는 중력파원의 주파수 대역도 리사와 라이고 사이의 빈 영역인 0.1~10Hz 대역이다. 백색왜성의 쌍성계와 중간질량 블랙홀의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로 목성을 넘어 토성, 천왕성, 해왕성까지 연속으로 탐사했다. 얼마 전 지구에서 약 48억km 떨어져 있는 명왕성을 통과한 NASA의 탐사선 뉴호라이즌스 호 역시 목성 옆을 스쳐 지나가면서 추진력을 얻었다.목성처럼 중력이 큰 행성은 가까이 가면 우주선을 끌어당긴다. 우주선의 속력은 행성과 가장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긴 나선들의 교차점을 이었더니 삐딱한 세로선이 21개 생겼습니다.파인애플 속 방정식만약 세로선 21개가 직사각형의 세로와 평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러려면 직사각형의 오른쪽 아래 꼭짓점(A)에서 임의의 한 점(B)까지 선을 긋고 선분 AB와 평행한 13개의 짧은 나선을 그립니다. 그리고 ...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얼마든지 다른 감정이 될수 있다.예컨대 실험 참가자에게 심장박동이 살짝 빨라지는 약을 먹이자 그 신체적 변화의 원인을 어디로 돌리느냐에 따라 감정이 달라졌다는 연구가 있다. 심장박동이 빠를 때 매력적인 이성이 옆에 있다면 ‘이 감정은 사랑이구나’라고 해석하며 설레고, 무례한 사람을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위해 지금까지 2000개가 넘는 칩을 넣어 컴퓨터를 만들었어요. 이 컴퓨터는 1초에 약 23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 기계는 아직 쥐의 뇌 구조와 비슷한 정도밖에 안 된답니다.이렇게 많은 기계가 만들어졌지만 아직 사람처럼 스스로 판단하고, 배우고, 추론하고, 이해하는 등 인공지능을 ...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내 몸무게가 세상에 알려진다면 얼마나 당황스러울까요? 심지어 어떤 공룡은 실제보다 훨씬 무겁다고 소문이 났었습니다. 지난해 아르헨티나에서 뼈 화석이 발견된 드레 ... 그리고 현재의 악어와 닭의 신체 밀도를 참고해 드레드노투스의 몸무게를 추정해보니 최대 약 38톤이었습니다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못하면 짝짓기를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천적에게 잡아먹힐 위험도 크다. 윤기상 박사는 “약충 시절에는 날개가 촉촉하게 젖은 채 구겨진 모양으로 단단한 껍질 안에 들어 있지만, 허물에서 나오면 날개 맥을 따라 체액이 흐르면서 단단해지고 편평하게 펴진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다른 곤충과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넘는 DNA 염기가 들어있는데 이것을 한 가닥으로 쭉 펴면 길이만 무려 1.8m에 이른다. 만약 이런 DNA가 마구잡이로 세포 속을 떠다닌다면 세포는 DNA에 엉켜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다. 이것을 막기 위해 우리 몸은 마치 실패에 묶어 실을 보관하듯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DNA를 칭칭 감아서 보관한다.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