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통해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확대된 부분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높이 3500m의 산이 ... ...
- 손목에 차는 구명 밴드 나왔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손목에 찰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물놀이용 구명 기구가 개발됐다. IT전문 온라인매체 기즈맥(Gizmag)은 미국의 스포츠용품 제작 업체 킨지(Kingii)가 손목에 착용하는 물놀이용 ... 7월 17일에 목표 금액 749%를 달성했다. 이산화탄소 카트리지 2개를 포함한 가격은 69달러(약 7만9000원)이다 ...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얼마든지 다른 감정이 될수 있다.예컨대 실험 참가자에게 심장박동이 살짝 빨라지는 약을 먹이자 그 신체적 변화의 원인을 어디로 돌리느냐에 따라 감정이 달라졌다는 연구가 있다. 심장박동이 빠를 때 매력적인 이성이 옆에 있다면 ‘이 감정은 사랑이구나’라고 해석하며 설레고, 무례한 사람을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꼬리부터 낳았는데, 이 역시 오늘날의 고래와 같은 방식이다.백악기의 한니발 렉터약 70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 생존한 모사사우루스는 오늘날의 고래처럼 전 세계의 바다를 누비며 살았다. 이들은 당시 가장 큰 해양포식자로, 화석기록를 보면 바다 속에서 움직이는 거의 모든 동물을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로 목성을 넘어 토성, 천왕성, 해왕성까지 연속으로 탐사했다. 얼마 전 지구에서 약 48억km 떨어져 있는 명왕성을 통과한 NASA의 탐사선 뉴호라이즌스 호 역시 목성 옆을 스쳐 지나가면서 추진력을 얻었다.목성처럼 중력이 큰 행성은 가까이 가면 우주선을 끌어당긴다. 우주선의 속력은 행성과 가장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긴 나선들의 교차점을 이었더니 삐딱한 세로선이 21개 생겼습니다.파인애플 속 방정식만약 세로선 21개가 직사각형의 세로와 평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러려면 직사각형의 오른쪽 아래 꼭짓점(A)에서 임의의 한 점(B)까지 선을 긋고 선분 AB와 평행한 13개의 짧은 나선을 그립니다. 그리고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느다란 쪽이 더 큰 각도로 휜다. 원래 가지에서 아주 가느다란 줄기가 튀어나올 때는 약 70~90°로 휜다. 루는 물질을 효율적으로 흘려보내려면 에너지를 최소로 써야 하기 때문에 이런 모양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번개 전하나 하천의 물줄기, 나무뿌리는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길을 택해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사격거리는 100보 정도였어요. ‘1보’는 사람이 두 발을 모두 한 걸음씩 움직인 거리로 약 1.2m를 말합니다. 100보면 120m 정도가 됩니다. 실제로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구조물이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대해, 성곽 위의 모든 공격시설을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는 연구동을 내려다본 두 기자는 눈이 휘둥그레졌어요. 완성된 반사경의 지름이 약 1m로, 생각보다 훨씬 컸거든요.“이 반사경과 우리나라 위성 최초로 단 고성능 적외선 센서 덕분에 아리랑 3A호는 한밤중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반사경을 만드는 기술을 갖추게 되면서 비로소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이 W자처럼 생긴 이 곡선궤도는 4차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y=\frac{1}{4}x⁴+\frac{1}{2}ax²+bx$만약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어떻게 될까? 수학자들은 a 또는 b를 조금씩 바꿔 카타스트로피가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했다. 그러면 W자형이었던 곡선이 때에 따라 V자형으로 바뀌기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떤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