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병원을 믿지 않는 데도 이유는 있었다. 한 예로 그는 시에라리온 현지의 에볼라 치료소를 처음 방문했을 때 깜짝 놀랐던 일을 고백했다. 그곳에서는 고열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이 모두 한 방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감기에 걸려 병원에 왔다가 에볼라에 감염돼 돌아갈 수도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이다.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놀랐어요. 어떤 신문에는 1면에 나갔는데, 아마 우리나라에서 공룡이 1면에 나간 건 처음이지 싶어요.Q 이번 발견이 어떤 의미가 있기에 이리 큰 주목을 받았을까요.A 다들 한국엔 공룡 화석이 없을 거라는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발자국 등 흔적 화석만 연구하거나, 외국으로 나갔죠. 그런데 ...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인류가 처음으로 무언가를 끄적끄적 그린 것은 언제부터일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시절이던 50만 년 전부터 낙서 수준의 그림을 그린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라이덴대 생물학과 조세핀 주덴스 박사팀은 120년 전인 1890년대에 독일 고인류학자 외젠 뒤부아가 ...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날 떠오르는 지각이 처음 판을 움직였다 그렇다면 판구조운동의 핵심인 섭입이 언제 처음 일어난 걸까. 지난 9월 호주 시드니대 패트리스 레이교수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결과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200km가 넘는 두꺼운 대륙판이 중력에 의해 무너지며 주변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분명히 생명체의 흔적이었다. “여기에도 생명이 있어요”라고 주장하는 듯 했다.“처음 보실 거예요. 제주도에서 채집한 ‘지의류’ 표본이에요.” 성서 속 비상식량, 루돌프의 도시락지의류는 낯선 생물이다. 이름부터 낯설고 어색하다. 일상생활에서는 화제에 올릴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반에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가 발견되면서 빅뱅 우주론의 시대가 열렸으니까요. 처음에 내가 한 일은 로저 펜로즈 등과 같이 시공간이 시작할 때 특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인 일입니다. 그러면 특이점에서는 일반상대론이 깨지게 됩니다. 한 5년 동안 우리는 일반 상대론 내의 인과 구조에 ...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근접 통과, 명왕성 및 위성 관측미국항공우주국이 2006년 1월 발사한 뉴호라이즌호는 처음부터 태양계 외곽 관측을 목표로 계획됐다.1차 목표는 태양계 외곽 왜행성인 명왕성이며 무려 10년의 여행 끝에 올해 7월 14일 도착한다. 비록 직접혜성에 착륙한 로제타처럼 극적인 사건 없이 그저 스쳐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발명한 판피어가 이제 좀 달라 보이지 않나요? 결국 우리는 최소 3억8500만 년 전 물고기가 처음으로 진화시킨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짝짓기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척추동물은 판피어에게 감사해야 할 것 같아요 ...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아인슈타인과 로젠이 1935년에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언급했기 때문이다. 휠러가 1957년 ‘벌레구멍(wormhole)’이라는 발랄한 이름을 제안하지 않았으면 지금도 저 난해한 이름을 쓰고 있을지 모른다.아침 8시, 신도림역에는 블랙홀이 나타난다일반상대론은 ...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런데 이것만이 아니다.김치찌개에 넣은 소금의 비밀기자는 자취를 시작한 날, 처음으로 김치찌개를 끓여먹었다. 아무리 마법의 조미료라는 MSG로 간을 해도 찌개가 싱거웠다. 설탕을 넣어도 소용이 없었다. 그때 눈에 띈 게 소금이었다. 소금을 반 스푼 넣자 맛이 확 살아났다. 지나치게 많이 넣은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