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아인슈타인과 로젠이 1935년에 논문을 발표하면서 처음 언급했기 때문이다. 휠러가 1957년 ‘벌레구멍(wormhole)’이라는 발랄한 이름을 제안하지 않았으면 지금도 저 난해한 이름을 쓰고 있을지 모른다.아침 8시, 신도림역에는 블랙홀이 나타난다일반상대론은 ...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뿐만이 아닙니다. 신형 여객기 ‘보잉777X’를 볼까요. 2013년 12월 두바이 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됐는데요, 날개 폭이 71.1m에 이릅니다. 기존 날개보다 더 길어서 연료를 똑같이 써도 양력(뜨는 힘)을 많이 받을 수 있어요. 보잉에 따르면, 경쟁 기종보다 에너지를 12%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런데 이것만이 아니다.김치찌개에 넣은 소금의 비밀기자는 자취를 시작한 날, 처음으로 김치찌개를 끓여먹었다. 아무리 마법의 조미료라는 MSG로 간을 해도 찌개가 싱거웠다. 설탕을 넣어도 소용이 없었다. 그때 눈에 띈 게 소금이었다. 소금을 반 스푼 넣자 맛이 확 살아났다. 지나치게 많이 넣은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처음으로 다른 사람을 만났다. 기지에서 섀클턴은 안면이 있던 책임자를 찾았지만, 그는 처음에 섀클턴을 알아보지 못했다.구조 위대한 실패에서 신화로 이제 신화의 마무리다. 기지 책임자 쇠를레의 도움으로 섀클턴은 나머지 대원들을 구조하러 떠났다. 서던 스카이(남쪽 하늘) 호라는 커다란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고 여겼다.본격적인 혜성 탐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지구에 가장 처음 물을 가져다 준 것이 혜성이라고 믿는 과학자들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로제타호가 탐사에 성공하면서 혜성에 있는 물과 지구에 있는 물의 성분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지구의 물은 지구에 ...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뜨겁다. 이진열 ㈜마이돌 대표는 “우리가 재밌어서 시작한 서비스”라고 말했다.“처음에 하고 싶었던 건 정보를 제공하는 잠금화면이었어요.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실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2주 만에 내린 결론은 ‘우리가 잠금화면은 잘 만드니까 다른 것도 해보자’라는 거였죠.”그렇게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들어 가장 잘 알려진 CT 진단법은 신체에 엑스선을 360°에 걸쳐 일정한 방향으로 쪼인 뒤, 처음 쏜 엑스선 양과 통과한 엑스선 양의 차이를 측정하는 촬영 기술입니다.간단히 말해, 신체를 통과한 엑스선 에너지가 내부 구조의 밀도에 따라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측정하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수학연산프로그램 ‘매스매티카’를 만든 물리학자 스티븐 울프람을 직접 만난 것이다. 처음 보는 프로그램과 과학자였지만 이민주 학생은 이것저것 열심히 물어봤다. 이 모습이 인상 깊었는지 울프람은 직접 이민주 학생과 친구들을 서울대에서 있었던 자신의 강연에 초대했다. “무슨 말인지 ...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번이었다. 책에는 답이 없었기 때문에, 한 문제를 풀기 위해 며칠 밤을 지새우기도 했다. 처음엔 한치 앞도 안 보이던 수수께끼도, 자꾸 바라보니 길이 보였다.그 해 여름이 끝나갈 무렵, 마침내 찬이는 책에 담긴 수수께끼를 모두 풀었다. 그때부터 정답을 확인해 줄 삼촌이 오는 추석만을 손꼽아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 모기류에게 물려 걸리는 병이에요. 처음엔 감기와 비슷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적혈구가 파괴되는 등 훨씬 심각한 증상이 이어져요. 지금도 1년에 200만 명 이상이 말라리아에 걸려 목숨을 잃고 있답니다. 안타깝게도 사망자의 87%가 아프리카 지역의 5세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