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빌딩만 한 파도도 피할 수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있으니까요. 그래도 해운대에선 큰 지진해일이 일어나긴 힘들어요. 남해의 평균 수심이 100m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죠. 지진해일의 속도는 수심에 비례하거든요. 깊은 먼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의 속도는 시속 870km나 돼요. 파도가 한 번 출렁이는 거리 즉 파장은 360km나 되고요. 대신 이 때는 ...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있는데, 종양을 제거하거나 성장호르몬을 억제하는 치료를 받게 된단다. 하지만 이 병은 100만 명 중에 3~4명이 걸리는 매우 희귀한 병이니 너무 걱정하지는 마.키에 대한 진실! 정말이야?키에 대해 조사를 하면서 놀란 또 하나는, 사람들이 키를 조금이라도 더 키우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고 ... ...
-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수학동아 l2010년 03호
- 같은 반이 될 확률을 계산해 보자. 그런데 2명이 10개의 반에 각각 들어가는 경우의 수는 100이야. 3명이라면 1000, 5명이라면 무려 10만이나 돼. 따라서 5명이 모두 한 반이 될 확률은 10만분의 1이 되는거야.한 다리 건너면 모두가 내 친구그런데 이럴 수가! 교실을 아무리 둘러봐도 작년에 친하게 지냈던 ...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3호
- 0.1~0.2mm이므로 허파 전체의 표면적은 약 50㎡다. 숨을 크게 들이쉬면 허파의 표면적은 100㎡까지 늘어난다. 이는 배드민턴 경기장보다 넓다. 허파에 담을 수 있는 공기는 3.5L 정도지만 프랙탈 구조 때문에 엄청난 표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소화관도 마찬가지다. 위나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관의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만들었다. 배우의 표정은 특별히 고안된 헤드기어를 이용해 캡처했다. 배우의 얼굴에 100개 미만의 점을 그린 뒤 이 점들의 움직임을 추적해 배우의 표정을 컴퓨터 속의 가상캐릭터에 그대로 옮겼다. 그동안에도 캐릭터에 표정을 입히는 기술은 많이 연구돼왔지만 헤드기어 카메라까지 동원된 것은 ... ...
- '조명'받는 LED 조명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적색광의 비율을 3 : 1로 했을 때 식물 생장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이 회사는 현재 100m2 규모의 LED조명 식물공장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데, 4월쯤 시범생산이 이뤄질 거라고 밝혔다. 폭 99m 초대형 캔버스 장식1977년 준공된 이래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을 상징한 대우빌딩이 1년여의 리모델링 공사를 ...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새해 첫 월요일, 우리나라에는 100여 년 만에 25.8㎝의 최대 폭설이 내려 전국이 눈폭탄에 파묻히고 말았습니다. 이후 영하 20℃를 밑도는 체감온도로 유독 추운 겨울이 이어졌는데요, 이런 현상은 중국, 북미, 유럽 등 북반구 곳곳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편, 남반구에는 백년 만에 44℃에 ... ...
- 지구의 붉은 눈물수학동아 l2010년 03호
- 보통 사람이 달리는 속도와 비슷하지만 2002년 아프리카 콩고의 니라콩고 화산처럼 시속 100km의 속도로 흘러내리는 용암도 있어요.용암보다 더 위험한 것은 화산재나 파편같은 화산분출물이에요. 뜨거운 화산 가스가 화산재나 파편을 공중에 떠받친 채로 화산의 경사진 비탈을 내려오기 때문에 ... ...
- 표면장력 스파이더맨 납시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60배나 되는 무게를 2분 동안 유지하면서 벽에 붙어 있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순간적으로는 100배 정도의 무게를 감당해내는 접착력을 갖고 있다. 잎벌레의 접착방식은 대표적인 벽타기 동물인 게코 도마뱀과는 차원이 다르다. 게코 도마뱀이 ‘마른’ 접착방식이라면 잎벌레는 ‘젖은’ 접착방식을 ... ...
- “주어진 환경 고려해 우수한 학생 선발할 것”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다 받쳐주는 쉬운 여건에서 100점을 받은 것과, 어려운 환경에서 스스로 노력해서 100점을 받은 것은 큰 차이가 있다.입학사정관제에서 특히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강조되는데, 정확히 어떤 학습태도를 말하는 것인가?예를 들어 동아리 활동을 할 때, 학교에서 동아리를 배정받아 수동적으로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