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뜀뛰기가 좋다. 캥거루는 뒷다리가 크고 힘이 세며, 앞다리는 비교적 짧다. 꼬리는 70~100cm 정도로 커서 뒷다리로 껑충껑충 뛸 때 몸의 균형을 잡는다. 캥거루는 양쪽 뒷다리를 동시에 움직여 뜀뛰기를 하는데, 뛰는 속도가 시속 64km만큼 빠를 뿐 아니라 한 번에 5~8m까지 뛰어오르기도 한다 ... ...
- 유전자 쏙 빼니 암컷이 수컷으로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이 생성되기 시작했다. 성별이 바뀐 쥐들은 일반 암컷 쥐보다 100배 많은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했는데, 이는 거의 남성 쥐와 같은 수준이다. 하지만 난소에서 변한 정소는 정자를 생산하지는 못했다.연구를 이끈 리처드 앤더슨 박사는 “이번 연구로 성별이 결정된 뒤에도 ...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말인가. 정오쯤 정비소에 도착했지만 주말이라 문을 열지 않았다. 주말엔 여기서 100km 더 나아간 곳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여유 타이어가 없는데다 타이어 한쪽마저 펑크가 난 상태에서 450km를 더 간다는 것은 무리인 듯했다. 달려온 길을 돌아가거나 동쪽으로 난 사막 지역을 통과하는 방법밖에는 ...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당시 미국이 활용한 군사위성은 약 60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12년 뒤 이라크 전에서는 약 100기가 동원됐다.미국이 이라크 정규군과의 전투에서 일방적 승리를 거둔 이유도 우주를 장악한 미국이 정찰, 통신 위성을 잘 가용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미국은 감시, 정찰, 통신 외에 요격용 ...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표면 위를 기어갈 때, 그 표면이 둥근 면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을까?” 그로부터 100년 뒤(2002~2003년)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이것을 최초로 증명했다. 하지만 그는 모든 수학자가 꿈꾸는 필즈상을 거부하고 사라졌다.청소년을 위한 과학인물사전에른스트 피셔 지음 | 김수은 옮김 |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조금씩 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술이 성공을 거두려면 지름이 약 100㎞인 소행성을 적어도 6000년 에 한 번씩 지구에 접근시켜야 한다.이것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데다 자칫 잘못하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하지만 먼 미래에 인류가 살아남는다면 ...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높이는 앉은 자세에서 무릎 뒤쪽, 즉 오금의 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전체 한국인을 100명이라고 두고 오금 높이가 짧은 순으로 5번째인 사람과 95번째인 사람의 치수에 옷 두께와 신발높이에 해당하는 3.5cm를 더한 값이 기준이다. 그 결과 한국인을 위한 의자는 높이가 39~48cm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들 ...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목성뿐 아니라 목성 위성에 대해서도 풍부한 데이터를 수 집했다. 특히 지구보다 100배가 강력한 이오의 화산활동은 초기 지구의 환경이 재현된 듯한 인상을 남겼다. 또 가니메데가 지구처럼 독자적인 자기장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위성으로는 최초의 예다.2001년 10월 15일 갈릴레오는 ...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5일까지 응모작을 접수하며 2월 중순에 최우수상(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상장 및 장학금 100만 원), 우수상, 장려상 등의 당선작을 발표한다.사실 그가 취임하자마자 과학관에서는 SF영화제를 개최했다.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 우주, 근미래에 대한 사회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더 문’을 ...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방식으로는 더 이상 물관리를 하기 어렵다는 걸 깨달았다.보통 하천은 수십 년에서 100년 또는 200년에 한 번 있을 만한 홍수를 상정하고 둑을 쌓는데, 이처럼 수백 년 또는 1000년에 한번 올 홍수가 국부적이긴 하지만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모든 곳에 새로 둑을 쌓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