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가장 몸집이 크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벵갈호랑이가 더 큰 경우도 있다.▲ 지난 100년 동안 세계 야생 호랑이의 수는 10만 마리에서 7500마리로 빠르게 줄었다. 또한 발리, 자바, 카스피안호랑이는 약 50년 전에 멸종했다.한국호랑이는 어디에?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게 있어. 한국호랑이는 우리나라 ...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바로 영화 ‘국가대표’로 잘 알려진 ‘스키점프’지. 아파트 30층 높이와 맞먹는 100m 지점에서 출발하는 경기야. 깎아지른 경사로를 따라 내려오면 어느새 하늘에 붕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 스키점프는 90m 이상을 나는 K90 경기와 더 높은 곳에서 출발해 120m 이상을 나는 K120 경기로 나눌 수 ... ...
- 타임머신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세대전 8명n세대전 ${2}^{n}$명20세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당시의 인구가 현재 인구보다 대략 100만 배나 많게 됩니다. 현재보다 과거의 인구가 훨씬 많았던 것일까요? 물론,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겹치는 사람을 모두 다 셌기 때문입니다. 모든 부모가 한 명의 자식만 낳는 것은 ...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당시 미국이 활용한 군사위성은 약 60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12년 뒤 이라크 전에서는 약 100기가 동원됐다.미국이 이라크 정규군과의 전투에서 일방적 승리를 거둔 이유도 우주를 장악한 미국이 정찰, 통신 위성을 잘 가용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미국은 감시, 정찰, 통신 외에 요격용 ...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5일까지 응모작을 접수하며 2월 중순에 최우수상(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상장 및 장학금 100만 원), 우수상, 장려상 등의 당선작을 발표한다.사실 그가 취임하자마자 과학관에서는 SF영화제를 개최했다.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 우주, 근미래에 대한 사회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더 문’을 ...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방식으로는 더 이상 물관리를 하기 어렵다는 걸 깨달았다.보통 하천은 수십 년에서 100년 또는 200년에 한 번 있을 만한 홍수를 상정하고 둑을 쌓는데, 이처럼 수백 년 또는 1000년에 한번 올 홍수가 국부적이긴 하지만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모든 곳에 새로 둑을 쌓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 ...
- 도넛 가득한 세상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조혈모세포는 적혈구로 분화하면서 핵이 사라지고 가운데가 움푹 팬다. 그런데 100개 중 1~2개꼴로 핵이 사라지지 않은 적혈구(미성숙한 적혈구)가 탄생한다. 미성숙한 적혈구는 골수 밖에서 돌아다니다가 스스로 핵이 없어지는 분화과정을 거친다. 전문가들은 미성숙한 적혈구가 전체의 1~2%를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조금씩 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술이 성공을 거두려면 지름이 약 100㎞인 소행성을 적어도 6000년 에 한 번씩 지구에 접근시켜야 한다.이것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데다 자칫 잘못하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하지만 먼 미래에 인류가 살아남는다면 ... ...
- 편안한 눈, 즐거운 귀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것이다. 소리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더 멀리 전파된다.기차가 지나갈 때 웅~ 하는 소리도 100Hz의 저주파에 해당한다. 버스를 타고 있으면 들리는 낮은 엔진음 소리도 마찬가지다. 저주파음은 음높이는 낮지만 음의 세기가 록밴드가 연주할 때와 비슷한 95~110데시벨이나 된다. 잘 안 들릴 뿐이지 굉장히 ...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몇 가지입니까”라고 묻는 것은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이 몇 가지냐고 물은 것이다. 동전을 100번, 1000번 던지더라도 동전에서 나올 수 있는 면은 딱 두 가지, ‘그림면’과 ‘숫자면’이다. “가위바위보에서 한 사람이 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얼마입니까?”라는 물음에 “한 가지!”라고 답하면 안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