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③ 환경 지킴이, 수학수학동아 l2009년 12호
- 1급수로 오염 물질이 거의 없다. 물속의 오염물질을 분해할 때 드는 산소량(BOD)이 1ppm(100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이하여서 바로 마실 수 있다. 피라미나 은어가 사는 물은 2급수로 BOD가 3ppm 이하로 끓인 다음 마실 수 있다. 거머리나 붕어가 사는 물은 3급수로 오염물질이 6ppm 이하로 식수가 아닌 ...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주로 한 변이 1인 경우, 즉 1cm, 1m, 1km 등을 다뤘다. 그래서 한 변의 길이가 10m나 100m인 정사각형을 기본 단위로 하는 1a나 1ha라는 단위가 낯설다. 금세 잊는 학생들을 위해 이 관계식을 넓이단위 사이의 함수관계 그림으로 바꿔 기억해 보자. 문제 풀 때 도움이 될 것이다. 교과서에서는 ‘들이’를 ...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눈을 우주로 돌리면 온통 극단적인 환경이다. 달만 해도 표면온도가 최저-150℃에서 최고 100℃까지 변해 일교차가 무려 250℃나 된다. 그러니 달이나 화성에 우주기지를 건설하려면 우주선을 개발해야 할 뿐 아니라 그런 악조건에서 버틸 수 있는 구조물을 지을 수 있어야 한다.“물론 우주선에 ...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인공적인’ 전파신호를 찾는 작업을 주로 했다.하지만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는 100만 분의 1초부터 0.1초 사이의 지속시간을 유지하는, 아주 짧은 전파신호를 찾는 방식을 택했다. 현재 주기가 가장 짧은 전파신호를 내는 펄서가 0.001초 정도의 주기를 보이므로 이보다 짧은 시간 범위 내에서 ...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세포가 죽는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는 50~100bp(염기쌍 50~100개)만큼 짧아진다”고 설명했다.하지만 모든 세포에서 텔로미어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암세포나 줄기세포는 텔로미어가 줄어들지 않아 무제한으로 증식한다. 1984년 블랙번 교수는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우주에는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공간에만 100억 개의 은하가 있고 은하 하나는 평균 100억 개의 별로 이뤄져 있으므로 태양처럼 행성을 거느린 별도 많을 것이다. 한 교수는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그 존재를 입증하지 못하다가 1995년에야 최초로 외계행성을 발견했다”고 ...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우주생명 이야기’에 따르면 별 100만 개에 외계인이 살 경우 일부 별은 지구에서 100광년 안쪽에 존재한다. 외계인의 신호를 포착하는 게 허무맹랑한 일이 아닐 수 있다는 뜻이다. 빛으로 외계인 흔적 잡는다.최근 들어 세티는 변신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전파에서 ... ...
- 아름다운 무한반복 프랙탈 아트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의도하는 대로 만들 수 없으며, 결코 똑같은 작품이 존재할 수 없다. 자기 작품이라도 100% 똑같이 재현할 수 없다. 아무리 기억을 더듬어도 어제와 같은 순서와 각도와 세기로 잉크를 번지게 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프랙탈 아트는 KPT 컬렉션(www.corel.com), 아포피시스(www.apophysis.org), 울트라 프랙탈(www .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분포하는데, 피부 1cm2당 촉각 점은 25개, 온각 점은 0∼3개, 냉각 점은 6∼23개, 통각 점은 100∼200개가 있다.하지만 아직까지 가려움을 느끼는 감각 수용기나 가려움을 인식하는 경로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많은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통증과 가려움이 같은 신경반응이며 자극의 세기가 약하면 ...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구하면 원자의 종류와 결합상태를 알 수 있다. 하지만 XPS는 분석할 수 있는 면적이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10mm라 지름이 0.1nm 정도인 원자를 분석하기엔 해상도가 낮다. 또 표면을 이루는 모든 원자가 아니라 특정 부분에 있는 몇몇 성분의 일함수를 알아내기 때문에 표면의 특성을 한눈에 ... ...
이전386387388389390391392393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