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병뚜껑의 톱니 수는 왜 21개? 음식점에서 시원한 콜라를 주문하면 항상 병따개가 따라온다. 꺼끌꺼끌한 콜라병의 뚜껑을 따려면 병따개를 대고서 약간 ... 한다. 고속도로에선 흰색 실선 하나의 길이가 10m, 간격도 10m이므로 흰선 5개 사이의 거리를
100
m로 계산하면 안전거리를 가늠하기 쉽다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사가 50개, 부사가
100
개, 동사가
100
개일 경우 50×
100
×
100
=500000이므로 50만 가지의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물론 50만 가지의 문장 중 대다수는 의미가 없는 엉뚱한 문장일 가능성이 큽니다. “바구니 빨리 슬프다”처럼 말이지요. 이 중에서 책에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러셀은 수학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는 욕구 때문에 계속 자살을 미루다가 결국
100
살 가까이 살았다. 수학은 곧 장수의 비결인가?우리는 타고난 수학자 1990년대 초 미국수학교사협회는 수학자와 심리학자와 함께 수학적 소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네 가지 능력만 있으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고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세워 주도하는 사업인 만큼 전망이 밝다. 실제로 국내 우주개발 사업에 매달린 업페만
100
여 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최 박사는 항공우주 개발에 꿈을 담은 청소년들에게 항우연 과학자에게는 세부 전공의 제한이 없다며 전공에관계없이 창의적인 사고를 기를 것을 주문했다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때도 평균은 똑같이 10점이 나온다. 평균만 가지고 열 명의 학생들 모두를 무시했다가는
100
점짜리 학생에게 큰 코 다칠 수도 있는 것이다.수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즐겁게 만들어 주는 원리가 될 뿐만 아니라 세상을 합리적으로 볼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해 준다. 더 나아가 수학을 이루는 논리를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구관은 “식품
100
g 또는
100
ml당 4kcal 미만일 때 무열량이라고 표기할 수 있으며
100
g 또는
100
ml당 40kcal 미만일 경우 저열량이라고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신 제품에 붙이는 영양함량표시에는 실제 열량을 정확히 표기해야 한다. 실제 음료에 포함된 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engine has claimed the top spot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most recent report values Google’s brand at more than $
100
billion. At the moment, Google’s most pressing problem is Microsoft. The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시 2-2를 논술 중심으로 선발한다. 일반전형의 경우 모집 인원의 50%를 논술고사 성적(
100
%)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인원의 50%는 논술(60%)+학생부(40%)로 선발한다. 시험 시간은 2009학년도 수시 시험에서 150분, 올해 치러진 2010학년도 모의고사에서는 120분이 주어졌다. 참고로 필기도구는 흑색과 청색 볼펜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정작 메밀보다는 밀가루가 더 많이 들어 있는 제품이 많다. 김 연구원은 “예를 들어 쌀
100
%로 만든 빵이라고 써 있는 제품은 밀가루 대신 밀에서 추출한 글루텐을 넣은 경우”라고 덧붙였다.밀가루는 쓰지 않았지만 사실상 쓴 거나 다름없는 셈이다. 게다가 글루텐을 뽑기 위한 밀가루는 등급이 낮은 ... ...
100
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9세기 활약한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는 광학분야에 여러 업적을 남겼지만 그 가운데서도 ‘아베의 회절 한계(Abbe’s diffraction limit)’가 가장 유명하다. 회절은 빛이 크기가 파장 길이 정도인 구멍을 통과할 때 물결처럼 사방으로 퍼지는 현상이다.두 점 사이의 거리가 빛 파장의 절반 이하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