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직선은 단 하나뿐이다.❷ 임의의 선분은 양끝으로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❸ 임의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임의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❹ 직각은 모두 서로 같다.❺ 평행선 공리 :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어느 한 쪽에 있는 내각의 합이 180°보다 작으면 이 두 직선은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씽크브릿지 전용덕 대표를 만나 전시를 함께 돌아보며, 전시 기획부터 연출까지 궁금한 점을 직접 물었다.특별히 이번 전시를 기획한 이유가 있나요?따로 이유가 있을까요? 일단은 제가 좋아서죠. 실제로 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중 하나예요. 다른 사람들도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핵융합의 원리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PART4. 핵융합 실현 기술PART5.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기고 남은 잔해라는 점, 지구에 부딪혀 물과 생명의 기원이 됐을 것이라는 점이다.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혜성 소행성 성분 얼음과 드라이아이스, 먼지 암석 궤도 대부분 해왕성 너머의 ‘카이퍼 벨트’에 위치. 포물선 궤도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양에 접근하면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중력으로 서로 밀치는데, 운석처럼 우주를 떠도는 물체들이 날아와 부딪히면서 행성이 점점 커져요. 마치 주먹만한 눈덩이를 굴려서 커다란 눈사람으로 만드는 것처럼요! 지금 남아있는 큰 행성들은 대부분 비슷한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거예요. 금성과 지구가 겉모양과 크기가 비슷한 이유죠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0년대 초반부터 재활용하기 시작했지요. 펠렛을 만들지 않고 부순 뒤 바로 녹여서 쓴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일반 고형 플라스틱도 만들지만 ‘재생유’나 ‘폐플라스틱 고형연료(RPF)’ 같은 연료로 변신하기도 하지요.플라스틱PP단일재질 플라스틱 용기용기 옆에 PP나 PS 같은 표시가 있는 플라스틱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적이 없고, C와 D는 0점을 얻은 적이 없지만, 놀랍게도 팃포탯 전략을 쓴 참가자의 최종 점수가 더 높다. 실제로 팃포탯 전략을 쓰는 참가자가 많을수록 더 많은 이득을 챙길 수 있다. 만약 이 전략을 쓰는 참가자가 적다면 이득이 줄어들지만, 그래도 배신자보다는 더 많은 이득을 얻게 된다.17포커의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실패태양-지구 라그랑주점 - 17회성공 1회실패파이오니어-E 미국, 1969.8.27 라그랑주점 진입실패수성- 3회성공 실패없음 금성 - 38회성공 2회부분성공 21회실패플래닛-C 일본, 2010.12.7 금성궤도 진입실패달 - 65회성공 8회부분성공 41회실패파이오니어 0호 미국, 1958.8.17 달궤도 진입실패 아폴로 13호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물리학’ 온라인판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질량이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공간이 휜다. 무거운 암흑물질 주변에서도 빛이 휘고 시간이 천천히 흐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우주의 암흑물질은 때때로 지구를 스쳐 간다.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만약 나노물질이 박테리아에 들어간다면, 결국 생태계의 먹이사슬 속으로 들어와 점점 위로 올라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나노 입자 때문에 참치 못 먹게 될 수도생태계의 먹이사슬은 오염물질이 사람까지 전달되는 매우 주요한 경로다. 수은이나 카드뮴, 구리, 아연 같은 중금속이 먹이사슬을 ...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