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배울 수 있어요. 미국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전시 내용을 그대로 도입했다는
점
도 특징이지요.이제 저 먼 우주로~!자, 이제 하늘은 정복했다. 우주로 가자~!오빠, 난 상영관에도 가 보고 싶어. 우주여행을 마치고 꼭 보러 가자.제주항공우주박물관 2층에는 우주가 펼쳐져 있어요. 지구에 ... ...
[수학뉴스] 카멜레온처럼 탈바꿈하는 암호화 기술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상호간 도청이 가능하다. 이
점
에 착안해 라르스 교수는 기존의 AES 알고리즘을 확장했다. 알고리즘 자체에 서로 같을 수 없는 여러 개의 층위를 만들었다.이렇게 만들어진 다이나믹 암호화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마다 계속해서 다른 시스템을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혼란스러웠을 때 그린 그림일수록 콜모고로프★ 척도와 같은 형태의 난류가 나타난다는
점
이다.연구팀은 과 한 인터뷰에서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고흐의 소용돌이와 난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며, “상관관계가 밝혀진다면 그림을 통해 환자의 정신질환을 발견할 수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직접 집도한 성형수술 자료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예뻐지길 원하는 부위가 어디인지를 중
점
적으로 파악했다. 환자들은 대부분 눈 또는 코를 희망사항으로 지목했다. 두 눈 사이의 간격과 이마와 코의 길이의 비율과 같이 눈과 코 중심으로 얼굴의 비례와 대칭을 조사해 나간 마쿼트는 얼굴 곳곳에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하지 않는다면 미래에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노벨상을 받아서 가장 좋은
점
은 내가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 하고 싶은 분야를 연구할 계획이다. 지금도 주위 연구원들이 퇴근한 뒤에 실험실에 몰래 들어가 혼자 실험을 하곤 한다. 작년부터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모여 한꺼번에 빛을 내면 회절 한계 때문에 이들을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고흐의
점
묘법처럼 따로따로 빛을 내도록 한 다음 이를 한데 모으면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베치그는 운 좋게도 미국 보건성에 있는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각개격파가 가능한 형광 단백질들을 얻을 수 있었다. 20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해도 불가능하다.외양간 프로젝트의 핵심은 ‘서버’문제는 뒤늦은 감시는 가능하다는
점
이다. 즉 영원히 풀리지 않는 암호가 아니라 서버에 있는 암호키만 있으면 암호를 풀 수 있다. 서버를 장악하고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암호를 풀면 언젠가는 내가 주고받은 메시지를 알 수 있다.이것까지 막을 ... ...
[과학뉴스] ‘다단계
점
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향했다. 메이븐 프로젝트의 총책임을 맡은 미국 콜로라도대 브루스 자코스키 교수는 이
점
을 “매우 영리한 방법이었다”고 평가했다. 부족한 추진력을 인정하고 메이븐보다 많은 로켓을 나눠 쏘면서 지구를 벗어난 방법을 높게 산 것이다. 실제로 망갈리안은 발사 후 11일 동안 총 6차례에 거쳐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대부분의 부모가 열에 대해 과도한 공포심을 갖고 부적절하게 대처한다는
점
이다. 이를 ‘발열공포(fever phobia)’라고 부른다. 미국의 소아과 의사 바턴 슈미트가 1980년 발표한 논문에서 유래됐다. 그는 “81쌍의 부모를 조사한 결과, 부모의 52%가 ‘아이가 40℃미만의 열로도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는 결과 자체뿐만 아니라 방대한 시료를 분석한 연구 데이터를 완전히 공개했다는
점
에서 이후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데이터 처리가 부정확했다는 논란도 이어졌다. 오류발견율이 1% 미만이어야 하는데,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 분석 과정에서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