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
과학동아
l
201002
180°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그런데도 배가 옴짝달싹 못하게 될 경우 함께 항해하는 더
큰
쇄빙선에게 도움을 구하면 된다.”●제2 남극기지의 후보지로 꼽히는 케이프벅스와 테라노바베이에서는 어떤 활동을 벌이게 되나.“우선 대륙기지 후보지의 지질과 입지 조건을 조사할 탐사대원을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02
이론적으로만 그 존재가 예측됐던, 빅뱅 직후 존재했을 것으로 기대되는, 질량이 매우
큰
별들의 존재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업적이다.물론 초신성 2007bi 폭발이 우주초기 별의 최후는 아니다. 16억 년 전 사건이지만 그 모성은 태양보다도 늦게 태어났을 것이다. 별의 질량이 클수록 ... ...
500원이 50원처럼 작아졌어요! 동전축소 저금통
과학동아
l
201002
이들이 많다. 또 하나!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기 위한 저금통도 새해의 인기 아이템이다.
큰
돈이라면 은행에 넣어 이자를 불리겠지만, 동전들을 모아 저금통에 넣는 일도 즐겁다.평범한 저금통이 지겹다면 ‘동전축소 저금통’을 이용해 보자. 500원짜리 동전을 이 저금통에 넣으면 깔때기처럼 생긴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02
믿어왔다. 그런데 스스로 생각하는 자기 모습과 주변에서 생각하는 모습 사이에
큰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상담치료를 받으면서 그는 비로소 무엇이 문제인지 알게 됐다. 그의 문제는 야망은 컸으나 그것을 이루기에는 재능도 모자라고 자존감도 터무니없이 낮다는 데 있었다.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02
만들었다. 이 내용은 사이언스데일리,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 등에 소개돼
큰
주목을 받았다.또 한 가지는 빛을 내는 형광체에 대한 연구다. 지금까지 형광 분자는 농도가 높아지면 빛이 사그라드는 ‘농도소광’ 현상이 나타난다는 게 정설이었다. 그러나 분자광전자연구실에서는 의문을 ... ...
What is Aurora?
과학동아
l
201002
빛의 연출이다. 북극광은 역사에 걸쳐 많은 이름을 가져왔다. 북미대륙에서 가장
큰
규모의 원주민 집단 중 하나였으며 주로 캐나다 지역에 걸쳐 거주한 크리족은, 이 현상을 ‘영혼의 춤’이라 불렀다. 중세에는 신의 계시로 간주되기도 했다.북위 지역에서는 로마신화의 새벽의 여신 오로라와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02
있다. 물론 충분한 적응훈련을 받은 엘리트급 선수들은 종목에 관계없이 고도 1500m까지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알파인 스키 경기가 펼쳐질 휘슬러 크릭사이드의 경우 남녀 활강 같은 일부 스키 종목과 스노보드 종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기가 고도 1000m 아래에서 치러질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02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이하 휴보센터)에서 개발한 휴보2는 시속 3.6km의 속도로 달린다. 100m를 달리는 데 1분 40초나 걸리지만 국내 최초의 달리는 로봇이다. 휴보2는 이전 ... 바퀴를 달고 오토바이처럼 달릴지도 모르겠다. 휴보센터에서는 이미 바퀴 달린 로봇도 만들고 있다.
큰
그림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02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해양과 빙하의 상호관계에서 파생되는 현상이다.영국 국립해양과학센터의 해리 브리든 교수는 “지난 47년간 유럽 해안을 지나는 멕시코만류의 양이 1957년에 비해 30%나 줄었다”며 2005년 12월 ‘네이처’에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02
제조된 한지는 질기면서도 유연해,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큰
재료다. 1600년 전부터 이어온 우리 고유의 문화이자 앞으로 더 많은 세월을 활용할 값진 자산으로서 가꿔나가야 할 것이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