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02
양 변의 길이가 b인 정사각형(B)을 잘라 내면 작은 직사각형(A)을 얻을 수 있다.
큰
직사각형과 작은 직사각형(A)이 서로 닮은꼴일 때 두 도형은 황금비를 갖는 직사각형이 된다. 이것을 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금비는 건축에서도 발견된다. 15~16세기에 살았던 이탈리아의 수도사 파치올리는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02
안정된 점프와 착지를 위해 표면온도를 영하 2℃로 하고,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은
큰
추진력을 내기 위해 영하 6℃~영하 7℃로 한다. 경기장 실내는 선수의 컨디션과 관람객을 위해 18℃로 난방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교과서가 달라졌어요 수학 친밀도 테스트 너를 보여 줘~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건물을 만들어?저건 한 개의 얼음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야. 얼음을 여러 개 겹쳐 붙여서
큰
건축물을 만드는 거야.얼음은 미끄러운데 어떻게 얼음끼리 붙지? 얼음에만 쓰는 풀이 있어?얼음끼리 맞붙이면 두 얼음이 맞붙은 표면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조금 녹게 돼. 그렇지만 아주 춥기 때문에 녹은 ... ...
얼음 위에 새기는 스포츠 수학
수학동아
l
201002
무척 설레는 올림픽이 될 거야.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전해올 메달 소식에
큰
기쁨도 누릴 수 있겠지. 스케이팅의 원리와 방법을 잘 안다면 더욱 재밌고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거야. 어때?! 스케이팅의 수학적인 묘미를 함께 찾아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교과서가 ... ...
겨울스포츠의 꽃
수학동아
l
201002
회전하는 동작이야. 점프하기 전에 한쪽 다리를 뒤로 빼고 양팔을 크게 벌리면 더
큰
회전력을 얻을 수 있어. 회전축에서 먼 곳에서 움직일수록 회전력이 커지기 때문이지. 뛰어오른 다음에는 팔과 다리를 꼭 모아서 더 빨리 회전하게 해. 두 바퀴(더블)보다 세 바퀴(트리플)를 돌 때 더 빨리 돌아야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02
재는 것이 아니라 4~6명이 함께 출발해 순위를 다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무엇보다
큰
차이는 쇼트트랙에선 곡선 구간이 중요하다는 점이야. 쇼트트랙 경기장은 반지름 8.5m인 곡선 구간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53.41m를 차지해. 하지만 실제 경기를 보면 곡선으로 움직이는 구간이 80%를 넘어. 곡선 ... ...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02
첫날밤캐나다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도시 옐로나이프(북위 62°).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호수인 그레이트슬레이브 호의 북쪽에 위치하며 오로라 대에 속한다. 왜 ‘옐로나이프(Yellowknife, 노란 칼이란 뜻)’일까. 처음 서양 탐험가가 여기에 도착했을 때 인디언(치퍼맨 족)이 노란 칼을 차고 있었던 데서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2
의 흰 수염(사라) 같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폭포는 높이 55m로 오키나와 현에서는 가장
큰
규모다. 시원한 계곡물에 발을 담그며 상쾌함을 즐기는 것도 잠시,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났다. 아침부터 그렇게 몸을 혹사시켰으니 허기가 느껴지는 게 당연하다. 그런데 식당도 없는 이곳에서 어떻게 식사를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02
결정되고 설계와 시공을 나눠 발주하게 되면서 원전 기술을 습득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큰
그림 보러가기2012년 원전 기술 100% 자립한다1984년 정부는 훗날 한국 원자력 발전사에 남을 중대한 결정을 하나 내렸다. 원전 건설을 해외에 맡기는 방식에서 벗어나 우리 손으로 직접 원전을 설계하고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02
그만큼 추진력도 커지는 셈이다. 물론 작은 것이 무조건 능사는 아니다. 너무 작으면
큰
에너지를 너무 짧은 시간에 내놓기 때문이다. 자칫 우주여행이 끝나기 전에 연료가 떨어져 버릴 수 있다는 얘기다. 크레인 교수팀은 100년 정도 우주여행을 한다고 가정하면 100만t 정도의 미니 블랙홀이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