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쇄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발상이 놀라웠다. 인쇄전자공학은 아직 발생 단계의 학문이지만 파급 효과가 엄청난
분야
다. 많은 학생이 인쇄전자공학에 대해 이해하는 기회이길 바란다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듣고 헤켈 씨가 진화발생생물학의 장을 연 인물이 아닐까 생각했다오.원래는 이 두
분야
가 떨어져 있었소. 발생생물학은 생물의 발생이 유전적으로 프로그램화돼있고 되풀이되는 반면 진화생물학은 생물의 진화가 프로그램화돼 있지 않고 우연적이라고 봤다오. 사실 ‘종의 기원’이 유명세를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빛을 받았을 때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등 연구
분야
를 분자세계 전체로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다양한 생명현상을 이해하려면 우리 몸을 이루는 수많은 단백질이 어떻게 생겼으며, 그 구조가 바뀌면서 기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야 한다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나스트란’(NASTRAN)은 1960년대 초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돼 지금까지도 항공우주
분야
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이다. 아폴로 우주선을 개발할 때도 ‘나스트란’을 사용했다. 김 교수는 처음부터 ‘나스트란’에 필적할 만한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만들 작정으로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가장 중요한 파장인 근적외선으로 관측할 수 있다.근적외선은 21세기에 꽃필 우주생물학
분야
에도 가장 중요한 파장이다. 우주생물학은 외계행성의 관측에서 출발한다. 물론 외계행성 탐색전용 우주망원경인 구경 1m짜리 케플러우주망원경도 제 역할을 다하겠지만,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6m란 큰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타민이 돼버린 비타민D에게 이제는 호르몬의 지위를 돌려줘야 하지 않을까. IU약학
분야
에서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로 비타민D의 경우 0.025㎍이 1IU다. 우리나라의 비타민D 1일 권장섭취량은 200IU로 5㎍에 해당한다.“미국 같은 경우 우유나 과자에 비타민D가 보강돼 있다.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계공학을 접목한 연구에 흥미를 갖고 있던 필자는 유한요소법을 공부하고 싶었고, 그
분야
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김 교수의 연구실을 택했다. 유한요소법은 자동차나 선박, 건물 같은 큰 물체를 무수히 많은 작은 격자로 나눈 뒤 충돌 등 물리적인 변수가 생길 때 형태가 어떻게 변할지 ... ...
탐구력 갖춘 과학인재 양성의 샛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국제화 시대에 과학자로서 자질을 계발할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며 “바이오에너지
분야
에서 세계 최고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경기북과학고는 또 대만 신죽고급중과 자매결연을 맺어 매년 정기적으로 왕래하고 있다. 이해나 양은 “2007년 4박 5일간 대만에서 홈스테이를 하며 서로의 문화를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른다. 남 단장은 “연구단의 비상(飛上)은 이제 시작”이라며 “전 세계 생무기화학
분야
를 깜짝 놀라게 할 연구단을 지켜봐 달라”며 포부를 밝혔다.남원우 단장1985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화학 학사1990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화학 박사1990~1991 미국UCLA 박사후연구원1991~1994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정부 차원의 협조가 불가피하고 국제 경쟁이 치열한
분야
이기 때문에 정책적 시야와 글로벌한 시각을 가진 사람이 필요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 우주항공구조공학은 주로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다루고 대학에 따라 기계공학과에도 개설돼 있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