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대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11월 14일 서울에서 열린 민중총궐기대회에서 68살 농민 백남기 씨가 경찰이 쏜 물대포를 맞고 쓰러져 중태입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물대 ... 물대포 시연을 했는데, 4000L를 쓰는 데 2분이 채 걸리지않았다고 합니다. 한 사람이 40번 이상 샤워할 수 있는 물을 2분 만에 맨땅에 쏟아버린 셈입니다 ... ...
- [Knowledge] 백제시대엔 철 어떻게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소규모로 실험을 해 자료를 얻으면 조금씩 규모를 키워가며 연구를 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똑같은 실험을 두 배 큰 실험 시설에서 하면, 결과는 두 배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고대 제철 실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 연구사는 “제철로의 규모가 커지면 여러 통제 조건을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시도가 폭력을 정당화하는 것이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설사 그들이 정말로 몸에 이상이 생겨 살인을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더 많은 사람을 죽이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연습을 한 책임은 면할 수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력과 테러 인류의 숙명일까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COP15에서 2100년까지 지구 기온을 산업화 이전에 비해 2℃ 이상 높이지 않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금까지 나왔던, 그리고 이번 COP21에 앞서 각 나라가 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한 감축안 역시 이 목표를 기준으로 세워졌다.그런데 지난 11월 3일, 기후변화에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억 개의 반사광을 계산하는 대신, 20만 개의 확산광을 계산하는 거죠. 계산 시간은 수만 배이상 단축되고, 다행히 우리 눈은 이것을 전혀 구분하지 못합니다. 아직은 1차 버전인데, 차차 눈 알갱이를 뭉친 눈사람, 수증기 입자가 모인 구름, 설탕으로 지은 집으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50%로 줄어든다. 이후에 1주일 동안 매일 캡사이신을 주사한 쥐는 도파민신경세포가 더이상 줄지 않은 반면, 캡사이신을 주지 않은 쥐는 도파민신경세포가 20~30%로 줄어들었다. 행동학적으로도 파킨슨병에 걸린 쥐는 한쪽 방향으로 빙글빙글 도는 증세를 보이는데, 캡사이신을 주사한 쥐들은 이 ...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생물 피해 없이 오래 보존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관리만 해 주면, 천 년 이상 흐트러짐 없이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거든요.그 첫걸음은 문화재 생물 피해 조사입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1년부터 올해까지 5년에 걸쳐 전국에 있는 국보, 보물 등 중요한 목조 문화재 321건의 생물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상이 있다고 말한 사람이 1~2% 나타나는데, 커피나 토마토 주스 등 다른 음식을 먹어도 이상을 느끼는 사람이 같은 비율로 나타납니다. 심지어 MSG가 들어 있다는 걸 모르고 먹으면 증상이 많이 사라집니다. 백 교수는 “음식이 아니라 심리의 문제”라고 설명합니다.MSG가 특히 뇌를 공격해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있다(118쪽 Interview 참조). 이온트랩 역시 중첩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지만, 일정개수 이상의 큐비트를 구현하고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어떤 것이 실제로 양자컴퓨터 개발로 이어질지는 아직 알 수 없다.뉴로모픽컴퓨터의 핵심은 코어 간의 연결망뉴로모픽컴퓨터(이하 뉴로모픽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숙련된 의사라면 환자의 이전 검사결과를 확인할 것이다. 만약 환자가 이전에도 80㎛ol/L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한적이 있다면, 환자의 신장 기능이 50%이상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다. 디아민디스 교수는 “진단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나 편리함이 아니라 정확성”이라고 말했다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