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긴) 빛은 아무리 강한 세기로 비춰도 전자가 튀어나오지 않았다. 반면 진동수가 기준
이상
으로 큰(파장이 짧은) 빛은 아주 약하게만 쪼여도 전자가 바로 튀어나왔다. 빛을 파동으로 해석하는 고전전자기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예컨대 아무리 붉은 빛을 강하게 쪼여도 흐르지 않던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7.3의 강력한 지진이 연이어 발생했다. 두 번의 지진은 9075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80만 채
이상
의 가옥을 무너뜨렸다. 지진이 나자 전세계가 구호팀을 파견하는 등 네팔에 도움의 손길을 보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관심은 점차 사그라졌다. 6개월 뒤,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는 상처 입은 네팔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우리나라에서는 LG 트윈스의 우규민이 대표적인 사이드암 투수다. 우규민은 올해 150이닝
이상
을 던졌는데, 플라이볼에 대한 땅볼의 비율이 1.1이 넘는다. 올해 리그평균인 0.94에 비하면 꽤 높은 수치다. 해설자들이 흔히 말하는 사이드암이 싱커를 잘 던진다는 말이 과학적으로도 틀린 말은 아닌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현상을 탐색하고 있었다. 지구 대기에서 만들어진 뮤온 중성미자가 관측을 방해했는데,
이상
하게 뮤온 중성미자의 양이 예상보다 더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것이 대기에서 만들어진 중성미자가 지하 검출기로 날아오는 도중에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로 변환했기 때문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이 방법의 음성예측도(검사가 음성으로 나왔을 때 실제로 질병이 없을 확률)는 90%
이상
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PART 4. 이그노벨상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비율은 지역과 관계없이 65%가량으로 비슷했다. 집안에 살고 있는 곰팡이균의 절반
이상
이 집밖에서 왔다는 뜻이었다. 연구팀은 집안에서 발견된 먼지 속에 있는 곰팡이균의 종류를 분석하면 그 집이 어느 지역에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하지만 세균에서는 이런 특징이 나타나지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속도보다 50배
이상
빠른 엄청난 속도예요. 더 놀라운 것은 초파리가 몸의 방향을 90°
이상
바꾸면서도 빠른 비행 속도를 유지했다는 사실이에요.디킨슨 교수는 “초파리 날개에는 평형과 회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특별한 기관인 ‘홀터스’가 있다”며, “홀터스를 비롯한 다양한 감각기관에서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시민을 대피시킬 수 있었어요.지진을 암시하는 현상, 진짜일까?Q 지진 전에 동물이
이상
한 행동을 보이나요?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여러 동물이 갑자기 나타난다는 이야기가 많아요. 심해어가 해수면까지 올라온다거나, 두꺼비 떼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처럼 말이에요. 진흙 속에 사는 메기와 바다에 ... ...
출간 150주년
이상
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호기심 많은 소녀 앨리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묘한 이야기. 그 속에 말장난과 수수께끼가 뒤섞여있어 전세계 독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고전이 있다. 바로 ...
[수수께끼 2] 모자 장수가 수학자라고?!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까마귀와 책상이 서로 닮았다니 곰곰이 생각해 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미국의 퍼즐 전문가 샘 로이드는 이 수수께끼의 답을 찾기 위해 애를 쓰다가 미국의 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가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책상에서 라는 소설을 썼기 때문이다.하지만 캐럴의 답은 따로 있었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