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이상구 성균관대 입학처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내용을 그대로 나열하는 것은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며 “활동에 대한 동기와 과정, 결과, 느낀 점 등 학생부에 나타나지 않은 상세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논술전형은 축소, 정시는 확대성균관대는 논술우수전형을 단계적으로 줄일 방침이다. 논술우수전형은 학생부(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합격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아래 [표3]은 2017년 4월 한양대에서 발표한 전년도 입시결과 브리핑 내용으로, 일반전형(학종) 합격자의 학교생활기록부 중 각 영역에서 최고와 최저 수치를 보여준다. 한양대에서 발표한 합격자 사례를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봉사활동 시간의 많고 적음이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래서 칠레에 위치한 망원경으로 이 중심별을 계속 관찰하고 있었답니다. 그 결과, 7개의 행성을 한꺼번에 발견한 거예요. 이 행성들을 처음 발견했을 땐 놀라움을 넘어서 경외감까지 느꼈답니다. Q. 트라피스트-1의 행성들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7개의 행성들 중 트라피스트-1e와 f, g는 유력한 ... ...
- 울산과학고등학교가 수학 즐기는 비법! 내고, 모으고, 풀고, 즐기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장과 김은태 수학 교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눈 결과,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울산과학고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는 명확했다. 수학을 즐길 준비가 됐다고? 학교가 팍팍 밀어줄게. 학생들 하고 싶은 거 다 해! 한 수학 교수가 학교 복도 칠판에 문제를 ... ...
-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방식을 고안해 일기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미주리대 측은 “이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수문학저널’ 2월호에 실렸다고” 6월 11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일기예보는 레이더로 빗방울과 비구름의 양을 포착해 날씨와 강수량을 예측했다. 하지만 빗방울이 형성된 후 빗방울이 증발하는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온은 모기 발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모기가 좋아하는 온도는 7~8월의 평균기온인 24.9~25.7도다. 모기는 변온동물이어서 13도 이하 ... 1345곳), 동작구(659곳) 순이었다. 이는 적극적인 방역활동으로 모기 유충 서식지를 더 많이 찾아낸 결과로 해석된다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즐겨 먹었다면 바닷가 지역 사람과 비슷한 결과값이 나올 수 있다.즐겨 먹은 음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정 책임연구원은 “유해가 출토될 때 작은 동물의 치아나 뼈가 함께 출토되면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며 “가령 쥐가 지역을 이동해가며 살지는 않기 때문에 쥐의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무작위가 아니다. 주사위의 초기 조건을 알고 중력과 마찰력을 모두 안다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뉴턴역학은 본질적으로 결정론적이라 모든 것은 정해져 있다. 정해져있다고 했지만 막상 예측하기는 어렵다. 고전역학을 사용하는 한 진정한 무작위는 없다. 그렇다고 양자역학적 무작위성을 쓰는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돌아오면 영상을 보면서 친구들의 공부법을 분석하고, 자신만의 학습법을 만들었다. 그 결과 성적은 빠르게 향상됐고, 3학년 때는 1.7등급으로 껑충 뛰어올랐다.공 씨는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학습법을 코칭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또 손재주가 좋은 ... ...
- [과학뉴스] 아마추어 천문가들, 새로운 오로라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NASA)의 과학자들이 인공위성을 사용해 이 오로라의 위치와 발생 과정을 추적한 결과, 이 오로라는 섭씨 6000℃에 달하는 뜨거운 기체가 지구 표면 200km 상공에서 빠른 속도로 흐를 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