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감정의 흐름을 다 포착하기는 어렵다. 때로는 매일 밤 관심있는 상대에게 보내는 문자의 결과가, 연출진의 예상을 빗나가 의아할 때도 있었다. 즉, 편집은 입주자들이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는 시점을 역추적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하트시그널 시청자들이 덩달아 설레고, 한번쯤은 ... ...
- Intro. 첨단 과학의 전쟁터, 게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것이라는 얘기가 들린다. 축구공이 굴러가는 건 ‘물리 엔진’에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이고, 내가 왼쪽으로 가고 싶어서 간 것뿐인데 ‘좌회본능’이라는 심리학적 밸런스 디자인을 적용한 것이란다. 욕설도 함부로 못 하도록 인공지능(AI)이 감시도 하고 있다고. ★ 이 모든 걸 계획한 이는 ‘게임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피해 정도를 예상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람의 안전을 책임지는 만큼 입력값에 대한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야 한다”며 “이 경우 현실에서 사용하는 모든 수학적 함수를 다 포함시킨다”고 말했다. [Interview] 넥슨 마영전클라이언트유닛 리더_이재도 넥슨에서 어떤 일을 하고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겨룬다. 본선에서는 팀별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로의 연구 결과를 검증하는 등 열띤 토론도 펼쳐질 예정이다. 기후변화 분야에 출전한 ‘부띨’ 팀의 김동원 군(부산과학고 1학년)은 “매서운 질문들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막아낼지 벌써부터 걱정”이라고 말했다.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블록이 으깨질 때까지 눌러서 응력과 점성, 탄성력을 측정한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구멍의 크기와 모양, 개수에 따라 식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수학적인 모델을 만들었다. 3D 푸드 프린터를 이용해 식감을 조절하면 동일한 재료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다. 이 교수는 “사람의 미각은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는 소리를 긍정적으로 경험하면 소음공포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필자는 그래서 3~16주령의 강아지들을 위한 사회화 교육 과정에서도 강아지들이 살면서 접하게 될 다양한 소리를 맛있는 간식과 함께 긍정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를 추천합니다.물론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돌아오면 영상을 보면서 친구들의 공부법을 분석하고, 자신만의 학습법을 만들었다. 그 결과 성적은 빠르게 향상됐고, 3학년 때는 1.7등급으로 껑충 뛰어올랐다.공 씨는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학습법을 코칭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또 손재주가 좋은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왜 혼자 있으면 불안해할까?개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았어요. 그 결과 사람과 함께 살아갈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동물로 진화했지요. 따라서 가족과 함께 지내다 혼자 남겨진 개는 지루함이나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해요. 심지어 가족과 친밀도가 아주 높은 개는 공포를 느끼기도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금껏 과학자들이 분석했던 케플러의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다시 분석해 봤어요. 그 결과, ‘케플러-90i’라는 새로운 외계행성을 찾아냈지요. 밝기 변화가 아주 작아서 과학자들이 분석했을 때는 발견하지 못했던 외계행성을 인공지능이 찾아낸 거예요. 특히 케플러-90i는 지구처럼 단단한 지각을 ... ...
- 그는 건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해 계산에 필요한 거리를 알아내고, 중력가속도를 이용해 속도를 계산했지요. 그 결과 소여가 1초에 12.7m 이상을 달려야 무사히 건물에 닿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어요. 1초에 10.43m를 달리는 우사인 볼트보다 빨라야 하는 거지요. 이외에도 존슨의 궤적을 포물선으로 나타내거나 상승기류를 ... ...
이전3833843853863873883893903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