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성체줄기세포로 나눌 수 있는데 세계적으로 성체줄기세포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조금
더 많으며 실용화도 가깝다.성체줄기세포 연구는 1961년 캐나다 제임스 틸과 어니스트 맥쿨록 박사가 골수에서 백혈구와 적혈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를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백혈병 ... ...
떡국 만든 로봇 '떡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할까? mission 2떡을 만들 쌀은 얼마나 필요할까?로봇을 고치고 있는 동안 썰렁 홈즈는
조금
이상한 점을 느꼈다. 헉! 이게 웬일? 떡국 만드는 로봇이 왔다는 소문을 듣고 동네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든 것이었다. 동네 사람들은 200명 정도. 모두들 떡국 로봇이 만들어 줄 맛있는 떡국을 기대하며 ... ...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녹말을 자르는 효소를 연구하고 있다. 효소마다 인지할 수 있는 당이 다르다. 구조가
조금
만 변해도 효소는 그 당을 알아보지 못한다. 그러면 당이 합성 또는 분해되지 못해 에너지를 낼 수 없다.) #03_설탕왕 뒤이을 단맛의 제왕“과당대감, 전하께서 마음에 들어 하시는 후보가 하나도 없으니 큰일 ... ...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어렵다는 것. 기상청 권원태 실장은 “지형학적으로 볼 때 해안가보다는 해안가에서
조금
떨어진 내륙 지방이 집중호우가 빈번한 경향이 있지만 언제, 어느 지역에 집중호우가 내릴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상당히 어렵다”고 밝혔다.강수량이 여름에만 집중되는 것도 문제다. 여름에는 집중호우로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복잡해 보여 혼란스러웠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래도 설명서나 교사의 지도를 따라
조금
씩 부품을 맞춰나가다 보면 차츰 구조와 원리를 익히게 된다.그러나 요즘 컴퓨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라디오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의 개수와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많다. 지난해 개발된 IBM의 ... ...
목뼈가 360도 돌아간다고? 관절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뼈와 뼈를 연골조직으로 연결한다. 연골조직은 섬유조직보다는 덜 질기기 때문에 뼈를
조금
움직일 수 있다.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서 볼 수 있다.윤활관절은 뼈와 뼈를 윤활막으로 연결하고 그 속에 윤활액이 차 있다. 윤활막과 윤활액은 윤활유 역할을 하기 때문에 뼈와 뼈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 ...
보르네오 밀림에서 정체불명의 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WWF) 연구팀은 12월 6일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 카얀 멘타랑 국립공원에서 고양이보다
조금
크고 긴 꼬리에 붉은 털을 가진 새로운 동물이 카메라에 포착됐다고 발표했다. 이 동물은 우뚝한 코에 작은 귀, 크고 튼튼한 뒷다리를 가지고 있어 육식성으로 추측된다.새로운 육식동물의 발견은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바이러스는 ‘달갑잖은 불청객’이란 과거의 악명을
조금
씩 벗고 있다.사람이 아니라 암 잡는 바이러스유전자와 단백질 껍질뿐인 바이러스엔 자신을 복제하는데 필요한 효소가 없다. 그러나 바이러스의 가장 큰 무기는 사람 같은 숙주 세포 안으로 뚫고 들어가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깨달았다. 망원경 속에서 밝은 별이 시야에 들어오면 모든 별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희미한 점 하나가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챈 것이다. 바로 밝은 별의 허상(ghost)이었다. 즉 그가 본 것은 실제 별이 아니라 밝은 별빛이 망원경 렌즈 면에 부딪쳐 만들어낸 ‘존재하지 않는’ 별이었던 ... ...
열은 어떻게 이동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있으면 따뜻한 이유가 바로 사람의 몸에서 나온 복사열 때문입니다. 또 더운 여름에는
조금
만 친구들과 붙어 있으면 더워서 견딜수없는 것도 바로 복사열 때문이지요.색의 성질을 알면 복사열을 더 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 검정색은 복사열을 가장 잘 흡수하고 동시에 가장잘내놓습니다.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