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알게 됐다. 환초 안과 밖은 전혀 다른 세상이었다.“여기는 불행한 아이들이 없어요”처음에는 낯설어 하던 학생들이 하루이틀 지나자 우크렐레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별빛 아래 같이 춤을 추며 벽을 허물어갔다. 이재원(서울 목동고 1), 성지미(거제 고현중 3) 양은 체험단의 분위기메이커였다.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눈을 돌렸다. 참신한 국내작가를 모집해 MID만의 대표선수단을 꾸리기로 했다.처음엔 쉽지 않았다. 과학을 쉽고 재밌게 이야기해 줄 작가가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대중과학 콘텐츠를 만들어 온 사람들부터 만나기 시작했다. 강 작가나 이충환, 전승민, 윤신영 같은 과학동아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하는데, 뱀처럼 꼬인 모양이 아주 특이해요. (▶4-3파트 참조)다니엘: (발끈하며) 독일도 처음은 아니에요. 예전 것보다 훨씬 크고 복잡한 장치예요.기욤: (해맑은 표정으로) 근데…, 핵융합이 뭔지 다들 알아요? 저만 몰라요?일동: …(침묵)성시경: “핵융합은 원자핵이 반발력을 이기고 서로 합쳐지는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같은 계획‘혹시 뻥 아니야?’ 날아가는 소행성을 붙잡는다는 허무맹랑한 아이디어를 처음 접하고 눈을 의심한 건 기자만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인지 NASA에서도 영화 예고편 못지않은 화려한 영상을 만들어 최근 유튜브에 공개했다. QR코드를 스캔해 한번 감상해보자.◀ 지구위협소행성은 지름 140m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온 운석으로 분류해놨지 뭐야! 다행히 1993년에 인간들이 내 고향을 밝혀냈어. 왜 처음부터 알지 못했냐고? 난 좀 독특한 몸이거든. 흔한 SNC운석과는 달라~! 나를 연구한 박사들이 그러는데, 암석의 특징이 SNC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대. 또 SNC운석은 보통 젊은데, 나는 소행성에서 온 운석처럼 나이가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그 시간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머지 않은 시간이지 않을까.이란성 쌍둥이 형제가 있었다. 처음에는 형이 주목을 받았지만 곧 동생이 대세가 됐다. 어디 가나 동생 이야기뿐이었다. 그러나 와신상담 끝에 다시 무대에 등장한 형의 이야기가 막 시작되고 있다. 토카막 핵융합 장치의 강력한 경쟁자, ... ...
- 바닥에서 요동치지 않는 샤워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활에서 자주 겪는 불편을 간단히 해결한 것이 평가에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밝혔다.“처음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모델을 골판지로도 만들어보고 책상에 깔아두는 고무매트로도 만들었어요. 임시로 만든 제품을 지인들에게 보내 의견도 들었죠.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뒤, 결국 실리콘으로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실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하겠다는 아이디어는 독일 수학자 하인리히 헤슈(1906~1995년)가 처음 생각해냈다. 그는 독일보다 성능 좋은 컴퓨터를 갖춘 미국에 가서 하켄과 만났다. 다시 말해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한 주인공은 아펠과 하켄이지만, 그 토대를 구축한 사람은 헤슈다. 이후에도 그는 증명을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간지럽힐 수 있는 나, 깃털펜을 이용해 공부를 하는 게 어때? 뭐? 나 같은 필기구는 처음 본다고? 요즘은 날 사용하지 않는다고? 필기구가 진화를 하고 있다고? 공부엔 역시! 연필얼른 말해 봐. 사실 연필을 꺼내려고 한거잖아! 그렇지? 공부할 땐 뭐니뭐니 해도 연필이지! 사각사각 기분 좋게 써지고 ... ...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마술이다. 컴퓨터는 답을 맞히기 전 열어 볼 수 있는 카드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음에 어떻게 카드를 섞고 배치해야 하는지 계산한다. 사람이 카드 마술을 할 때보다 카드를 열어 보는 횟수가 평균 한 번씩 적었다.컴퓨터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한 결과 새로운 마술을 창조해냈다.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