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우리에게 ‘키스’로 유명한 작가다.클림트의 그림은 유난히 장식적이고 화려하다.
처음
에는 회화가 아닌 장식 아카데미에서 공부했기 때문이다. 화려한 장식적 요소에서도 빛을 발휘하는 클림트의 진짜 힘은 ‘관능’이다.클림트 작품은 같은 소재를 다룬 다른 그림보다 훨씬 야하게 느껴진다.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테러 날짜를 예측하는 공식을 만들어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소개했다. 물론
처음
일어나는 폭탄 테러를 예측하는 공식은 아니다. 이 방정식은 두 번의 폭탄 테러가 똑같은 장소에서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두 공격 사이의 시간 간격을 방정식에 넣으면 다음 공격까지 시간이 얼마나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제1 모스크인 푸트라 모스크를 가장 먼저 방문했어요. 푸트라 모스크를
처음
보면 핑크빛 돔 색깔에 한 번 놀라고, 모스크의 웅장함에 또 한 번 놀라게 됩니다. 일명 ‘핑크 모스크’라고도 불리는 푸트라 모스크는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일단 무릎을 꿇고 기도를 해야 할 것만 같은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수학 부문 초등부 금상팀의 김혜림(대전한밭초 6학년) 학생은 “새롭고 신선한 문제에
처음
엔 당황도 했었다”면서도, “공식을 외우고 대입해서 풀던 이전의 방식에서 벗어나, 문제를 새로운 관점으로 보면서 다양한 방법을 떠올리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중등부 금상팀의 정여원(청심국제중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맞는 여러 종류의 마스크를 선보였다. “어제 만난 사람 첫인상이 참 좋았어.”사람을
처음
마주할 때, 대부분 가장 먼저 보게 되는 얼굴. 이처럼 얼굴은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판단요소다. 그런데 좋은 첫인상은 단지 ‘느낌’에 불과한 건 아니다. 첫인상의 비밀 속에는 다름 아닌 수학이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세포를 ‘장소세포’라고 불렀다. 장소세포는 주위의 장소세포와 협력한다. 광화문에
처음
갔다고 생각해보자. 길을 잃지 않으려면 이순신 동상, 세종문화회관, 경복궁 등의 위치를 수집해 머릿속 지도를 만드는 게 우선이다. 이때 각 장소마다 다른 장소세포가 전기신호를 만들어 위치를 기록한다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람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름을 본 따 ‘헤르마프로디토스’라 불렀다.
처음
에 과학자들은 헤르마프로디토스가 결국 도태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성별이 3개였을 때는 반드시 어느 한 쪽이 도태되기 마련이다. 자손을 번성케 하려는 인류의 욕구는 가장 완벽한(건강한 자손을 많이 낳을 수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생존환경에 따라 퇴화하기도 발달하기도 원래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조상들은 지구에
처음
등장했을 때 후각수용체 수가 비슷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후손들의 후각 능력은 달라진걸까요. 그리고 코끼리의 후각 능력은 왜 이토록 뛰어난 걸까요. 글의 서두에 언급한 요시히토 교수팀은 최신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만드는 기자에게도 생각해볼 점이 있는 이야기였다. 단풍이 들 듯 출판사도 달라진다“
처음
에는 ‘수직한다’라는 말 자체가 이해가 안됐어요.” 대학시절 국문학을 전공한 이진경 과장은 신입사원 시절을 떠올리며 웃었다. ‘수직한다’는 보통 ‘두 직선이 직각으로 만나다’ 같은 뜻으로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라는 물질이 떠올랐다. 질화갈륨으로 파란색 LED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이 바로 나고야대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다. 아카사키 교수는 1974년부터 질화갈륨에 관심을 갖다가 1981년 나고야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