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초"(으)로 총 4,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7.06.06
- 왓슨과 크릭이 DNA이중나선구조를 규명했다. 리센코도 좋은 시절이 다 지난 것이다.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한 소련의 새 정부는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3000여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시베리아의 노보시비르스크 인근에 과학도시 아카뎀고로독을 조성했다. 이곳에 지어질 세포학․유전학연구소의 ... ...
- 브루스 보이틀러 교수 “유행 따르지 말고 당신만의 연구를 찾아라”동아사이언스 l2017.06.02
- 온 병원성 물질을 인식하는 지질다당류(LPS) 수용체와 그유전자를 발견해 면역체계의 기초를 정립한 것이다. “여러분께는 제가 성공한 과학자로 보이겠지만, 5년동안 아무 성과를 내지 못한 때도 있었습니다. 다른 걸 해보라는 권유도 있었고, 스스로도 좌절을 겪었습니다.” 보이틀러 교수는 ... ...
- [과학Dream_1화] 그렇게 만난 두 얼굴의 인도동아사이언스 l2017.06.02
- 과학계에서는 ‘사실상 인도가 이미 한국을 앞섰다’라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탄탄한 기초과학과 13억 명의 인력풀을 활용한 인해전술이 이뤄낸 성과다. 이 인구의 절반은 25세 이하의 젊은 피다. 미래가 더 기대될 법 하지만 오히려 미래는 그다지 밝지 않단다. 왤까? ● 우주 강국의 이면엔 65% ... ...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②] 과학기술 독임부처 부활, ‘4차 산업혁명’에 밀리나동아사이언스 l2017.05.31
- 형태에 관계 없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지향적인 R&D 기획, 청년 연구자 육성, 기초연구의 자율성 보장 등 문재인 대통령의 다른 과기 공약이 차질없이 추진되는지에 대해서는 과기계 모두가 지켜봐야 한다. ... ...
- “제발 인공지능 과장하지 마세요”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5.29
- 이세돌 9단에게 한 판이나마 내줬던 알파고가 이젠 넘사벽(?)이 된 것처럼. “처음에는 기초적인 질문에만 답하더라도, 사용자의 실제 질문 데이터가 쌓이고 이 질문들을 학습시키면 인공지능 챗봇은 점차 어려운 질문도 대답할 수 있게 됩니다. 단계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으로 도입해야 합니다.” ... ...
- 로봇과 함께하는 재미있는 코딩! ‘E-센서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5.25
- 방법, 알고리즘 등을 보드 게임이나 놀이를 통해 익힐 수 있답니다. 언플러그드 활동으로 기초를 배우면 직접 코딩을 하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지요. ‘E-센서로봇’은 코딩의 원리를 쉽게 익힐 수 있는 교육 키트예요. 로봇의 몸체는 빛과 온도, 거리, 소리 등의 각종 센서가 달린 센서보드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비자아’와 구별해 인식하는 것이 아마도 면역학의 기초일 것이다. - 맥팔레인 버닛 아토피, 천식, 비염. 이 질환들의 공통점을 찾으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금방 ‘알레르기(알러지)’를 떠올릴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 질환의 공통점은? 류머티스 관절염, 크론병, 제1형(소아) 당뇨병, ... ...
- ESC “새 정부, 사회가 과학을 잘 수용하도록 정책 펴주길”동아사이언스 l2017.05.10
- 실체와는 유리된 과장된 수사와 겉보기를 위한 결과로 포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초가 되는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의미 있는 발전을 이루는 일입니다. 그러한 일을 직접 담당하게 될 주체는 정부가 아니라 현장의 연구자들과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 기업입니다. 새 정부는 개개의 주체가 갖기 ... ...
- 문재인 대통령의 과학기술 분야 브레인은 누구?동아사이언스 l2017.05.10
- 기초과학분야 지원계획의 초안을 작성하기도 했다. 이날 발표한 메시지는 문재인 후보의 기초과학분야 공약 중 핵심 내용이 됐다. 새대위에서 4차 산업혁명 분야를 맡은 유웅환 전 인텔 수석매니저와 에너지정책 분야를 맡은 백운규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도 활약했다. 다만 이 그룹은 향후 ... ...
- [ESC의 목소리 (12)] 과학교육을 다시 생각한다2017.05.08
- DGIST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한국적 상황의 특수함 때문에 과학기술은 줄곧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의 도구로 이해되어 왔다. 물론 과학의 응용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관점이 무조건 틀린 것은 아니겠지만 문제는 그것의 편협함에 있다. 과학의 오래된 역사를 거슬러 살펴보면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