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초"(으)로 총 4,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 정복 화학치료법의 4가지 유망 후보 물질동아사이언스 l2017.03.19
- 신약 후보 물질 4가지를 소개했다. 첫 번째로는 유전자가 후천적으로도 변화한다는 데 기초한 ‘후성유전학’을 바탕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암의 발달을 막는 물질이 소개됐다. 마크 다우슨 호주 멜버른대 교수는 “인체에 발생하는 암 대부분이 DNA의 메틸화나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하기 ... ...
- 기계硏 신임원장에 박천홍, ·원자력硏 신임원장에 하재주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7.03.16
- 원자로 개발 전문가로 꼽힌다. 신형원자로개발연구소장, 연구로이용개발본부장, 원자력기초과학연구본부장, 원자력안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임기는 두 사람 모두 16일부터 3년간이다. ... ...
- “대선 후보님들, 대학원생은 노동자인가요? 학생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3.16
- 등 소수자들이 연구를 하며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뤘다. 한국 상황에선 기초과학 연구자를 소수자로 볼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나왔다. 참가자들은 소수자가 일상적으로 겪는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이해해야 해법도 마련할 수 있다는 데 공감했다. 대선주자들이 과학기술 공약을 ... ...
- 깊은 땅 속 광물 탐사, 소프트웨어로 더 쉬워진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5
- 설계했다. 융합연산 방식이란 수학에서 쓰는 수치해석학과 지구통계학을 기초로 설계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 처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는 이 알고리즘에 로우 데이터를 입력해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 연결하고 변환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지의 땅 속 세계를 사실과 ... ...
- 미래부, 내년부터 협업 중심 R&D 늘린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5
- 서로 다른 분야 간 융합형 연구도 적극 육성한다. 특히 제조를 비롯한 생명, 소재, 농업, 기초과학 등 전 영역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는 스마트화를 지원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차, 의료 진단용 인공지능(AI), 스마트팜, 스마트 교통체계, 스마트 제조 등이 대표적이다. ... ...
- “기초연구는 미래연구부로, 응용개발은 산업혁신부로”동아사이언스 l2017.03.13
- 담겼다. ‘미래연구부’는 현재 미래창조과학부와 보건복지부, 교육부가 맡고 있는 기초연구 기능을 합친 연구전담부서다. ‘산업혁신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경제 파트와 정보통신기술(ICT) 응용개발 파트를 합친 거대부처로 산업생태계 지원 기능을 맡게 ... ...
- 15분 가벼운 운동으로 혈당 체크 → 자동 투약 가능한 ‘당뇨 패치’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Pixabay 제공 ‘패치’ 하나 피부에 부치고 15분 정도 걸으면 혈당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필요시 적정량의 약물을 측정해 투약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1주일에 2~3번 채 ... 9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연구진이 새롭게 개발한 1회용 막대형 혈당 측정 기기. -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찬란했지만 쓸쓸한 숨겨진 인재들,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건물 유색인 전용 화장실을 다녀야 했다. - (주)20세기폭스사 제공 사실 이 영화는 실화를 기초로 하고 있어, 결론을 알고 보는 영화입니다. 영화 배경과 줄거리도 다 공개됐지요. 내용을 간단히 적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소수의 백인 남성이 주도하던 1960년대 미국,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개발 ... ...
-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03.11
- 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물방울을 이용해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장과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지름이 수 μm인 물방울을 이용해 엽록소 탈금속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측정했다. 탈금속반응은 산성 조건에서 엽록소 분자 ... ...
- 전 세계 영화가 손가락 크기 USB 메모리칩 하나에동아사이언스 l2017.03.09
- USB 메모리칩 1개에 담을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 연구팀은 지름이 약 0.175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한 홀뮴(Ho) 원자를 이용해 ‘원자 단위 메모리 기술’을 개발하고, 원자 1개에 컴퓨터 기억장치가 사용하는 ... ...
이전386387388389390391392393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