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초"(으)로 총 4,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FACT&VIEW] 감쪽같이 속았다! 2500년 만에 밝히는 황금비 진실2017.02.03
- 미술에서의 비의 미학’이라는 책을 읽고 생각을 바꿉니다. 황금비가 자연 현상을 기초로 했다는 대목에서 매력을 느끼고, 결국 라 투레트 수도원을 지을 때 건물 곳곳이 황금비를 따르도록 설계해 완성했습니다. 찾아보니 이렇게 명쾌하고 논란이 없는 황금비 예시도 많았습니다. 이에 박제남 ... ...
- 신임 한국뇌은행장에 김종재 울산의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1.31
- 부임했다. 현재 치매와 같은 뇌신경계질환과 유전체, 줄기세포 분야에서 기초의학과 임상을 연결하는 중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뇌은행은 인간 뇌자원을 확보, 관리해 이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2014년 한국뇌연구원에 설립됐다. 지난해 서울대병원, 부산대병원, ... ...
- 칼로리 폭탄 명절음식, 이런 운동으로 해결하자동아사이언스 l2017.01.28
- 소비할 수 있는 칼로리는 사람의 근육량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70kg 남성의 1일 기초대사량은 1680cal, 50kg의 여성은 1080cal다. 하루 세끼 식사로 약 6000cal를 섭취하며 가만히 소파에 누워 명절 특집 방송을 본다고 가정하면 체중계 숫자가 하루에 1~2kg 씩 증가하는 마법을 쉽게 볼 수 있다. 음식 ... ...
-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과학동아 l2017.01.27
- GIB 제공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과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빛을 받으면 정보를 저장한 부분이 녹아 없어지는 새로운 보안 메모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유기염료를 나노입자에 붙여 근적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 흡수해 이를 ... ...
-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았다!과학동아 l2017.01.25
- 자석을 만드는 데 발판이 될 전망이다. 정현식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과 공동으로 2차원 삼황화린(FePS3)이라는 물질에서 자기적인 성질이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 가운데 하나는 2차원 물질이 ... ...
- SK-LG '반도체 빅딜' 성사…업계 "상호 윈윈"포커스뉴스 l2017.01.24
- 필요한 절차를 거쳐 인수 작업을 마무리 할 계획이다. LG실트론은 반도체 칩의 핵심 기초소재인 반도체용 웨이퍼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300㎜웨이퍼 시장에서 점유율 14%를 차지, 세계 4위를 기록했다. 그동안 LG실트론은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글로벌 반도체 ... ...
- 과학기술 석학 한 자리에…한림원, 신입 정회원 31인 영입동아사이언스 l2017.01.24
- 김범식(고등과학원), 박태성(서울대), 최기운(기초과학연구원), 박남규(성균관대), 김진수(기초과학연구원), 조윤제(포항공대), 박창범(고등과학원) ▲공학부 박홍근(서울대), 손훈(KAIST), 김광용(인하대), 오준호(KAIST), 이관수(한양대), 이병주(포항공대), 황현상(포항공대), 박주현(영남대), 최양규(KAIST), ... ...
- 파격 생물학회 ‘매드사이언스 페스티벌’에는 3가지가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준비한 정모이자 대안적 학회다. 의과학블로그 ‘우울한 마빈의 문화산책’ 운영자, 기초과학연구원 (IBS) 교수로 재직 중인 팅커잭, 팟캐스트 ‘오마매의 바이오톡’, ‘과학기술정책읽어주는남자들’의 운영자 등이 남궁 교수와 함께 한 달간 준비했다. 남궁 교수는 “과학자들이 정모하는 데 술만 ... ...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신임 회장에 유영숙 KIST 책임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7.01.20
-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팀 헌트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박사,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등 80여 명이 강단에 오른다. 유 회장은 “세계적인 석학들과 회원들 간의 활발한 연구 정보 교류를 통해 학회가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 ...
- 나노미터 급 초소형 균열 생성 과정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7.01.18
-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 크기의 균열이 형성되는 원인을 규명했다.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사진) 팀은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는 2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의 균열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그간 마이크로미터 크기 균열의 형성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