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4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03.10
골디락스 지대(Goldilocks zone)라는 영역이 있습니다. 이곳은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
할 수 있을 만큼 항성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지구에서 30광년 안쪽으로는 약 1000개의 항성이 있습니다. 그중 골디락스 영역 안에 지구 크기의 행성을 가진 항성이 1%라면, 우리가 갈 수 있는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빛조차 탈출할 수 없어 ‘black hole(검은 구멍)’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런 블랙홀의
존재
를 어떻게 영상으로 입증할 수 있을까? 블랙홀의 강한 중력은 사건의 지평선 바깥을 지나가는 빛도 휘어지게 만든다. 그래서 블랙홀 뒤편에 있는 밝은 천체나 블랙홀 주변에서 내뿜는 빛은 왜곡돼 블랙홀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2019.03.10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 빛과 같은 역할을 할
존재
는 무엇일까? ※필자소개 박미옥. 캐나다 워털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연구원으로 있다. 중력과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해 연구 중이며, 최근에는 블랙홀 열역학과 ... ...
반도체에 ‘미니태풍’ 만들어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수 있다. 반도체 위의 태풍은 양자역학적 특성에 의해 회전 속도 등이 특정 수의 배수로
존재
하며(양자화), 방향도 일정해 잘 바뀌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렇게 ‘태풍의 수’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조절할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은 “미래형 정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미래의 보상’을 신뢰하고 기대할 수 없는 척박하고 불안정한 환경에서는 보상이
존재
할 때 바로 거머쥐는 것이 더 적응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는 환경적 단서에 민감한 편이고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는 보상을 뒤로 미루지만 똑같이 적응력이 좋지만 가난한 가정에서 ... ...
[개각] 과기계 정부 요직 ‘카포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과학기술 분야 정부 콘트롤타워 주요 자리에 카이스트-포스텍 출신 과학자가 늘어났다. 왼쪽부터 조동호 과기정통부 장관후보자, 원광연 국가과학기술연구 ... “다양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는데, 비록 출신학교는 같지만 펼치는 정책에서는 다양성이
존재
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여성의 두 번째 X 염색체 조절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염색체의 비활성화 현상은 생쥐의 경우 ‘지스트(Xist)’라는 RNA가 조절한다. 지스트 RNA에
존재
하는 반복서열이 염색체의 후성유전적 비활성화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이다. 인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지스트 RNA가 비활성화 현상을 조절한다고 추정했지만 생쥐의 지스트 RNA와 어떻게 유사하게 혹은 ... ...
[미세먼지 재난]④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7위 수준…특정 기간에 집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것으로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공기오염 정도에 대한 척도다. 0부터 500까지 수치가
존재
하며 높을수록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고 평가된다. 공기질 지수가 50 미만의 경우 대기질이 양호한 것으로 보고 150부터는 건강에 해로운 것을 뜻한다. 세계 3000개 도시 중 한국 도시 3곳이 공기질이 안 ... ...
'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정확도 높일 오류검증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DNA 변이율이 낮은 질환 검사에 사용되고 있다. 암을 조기에 진단하려면 매우 낮은 비율로
존재
하는 암세포의 DNA 변이를 분석하는 NGS의 오류를 검증하는 기술이 확보돼야 한다. 연구팀은 NGS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가 DNA 변이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광학적 감지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데 주목하고 ... ...
출력 밀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비움 효과(Vacating effect)’라 이름 지었다. 또 전극 표면에
존재
하는 이온 뿐 아니라 시스템 전체 이온들의 집합적인 움직임을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충·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노찬우 연구원은 “이론적으로는 수 나노초 이내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