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4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우울한 건 ‘장내 미생물’ 때문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제론 레이스 벨기에 루뱅 가톨릭대 레가의학연구소 교수팀은 특정 장내미생물의
존재
여부가 사람의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1000명 이상의 실험자가 참여한 두 개의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 4일자에 발표됐다. ... ...
트럼프의 독특한 말 버릇, 그 역사가
존재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말버릇은 자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표현이 과거부터
존재
하던 자신감과 영향력을 표출하는 말하기 전략의 하나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제이미 페니베이커 미국 텍사스 심리학과 교수는 트럼트 대통령이 내뱉는 간단하고 즉흥적인 말들이 자신감과 영향력을 ... ...
"머신러닝 과용이 과학에 위기를 불러올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그는 “머신러닝은 부정확하거나 틀린 결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며 "데이터 안에서만
존재
하는 패턴을 밝힐 뿐 현실 세계에서 나타는 현상을 밝혀내진 못한다”고 밝혔다. 앨런 교수는 또 “머신러닝 기술은 항상 예측의 결과를 내도록만 설계되고 있다”며 “데이터를 보고 ‘패턴을 찾아내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음의 우생학
2019.02.17
잘못된 학문이었습니다. 우월한 유전자, 열등한 유전자 우생학은 인간을 보다 나은
존재
로 만들려는 순수한 시도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국 비극으로 끝났다. 그런데 과연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우생학의 비극이 완전히 끝났다고 말할 수 있을까? 위키피디아 사실 우생학이 처음 태동하던 ... ...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주인공이다. 이 2개의 단층 사이가 후포항과 대진항 사이에 만 형태로 만들어진 해역이
존재
한다. 연구진이 이 곳이 양산단층과 연장된 부분인지 확인하기 위해 2018년 탄성파 탐사와 시추를 진행했다. 공 연구원은 “양산단층은 수직으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좌우로 움직이는 주향이동단층이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왜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
2019.02.17
특정 성별은 기를 북도움 ‘받아야’ 하는
존재
, 다른 성별은 기를 북돋는데 사용되는
존재
라고 정의해온 우리 사회의 관습이 어쩌면 여성을 향한 자격의식과 그로 인한 피해의식을 키웠을 지 모른다. 결국 이성으로부터 좋은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은 역설적으로 작은 일에도 쉽게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것이다.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마지막 선물 고리를 가진 행성은 우주 어디에나
존재
할 수 있다. 지구에서 센타우르스자리 방향으로 434광년 떨어져 있는 외계행성 ‘J1407b’는 반지름이 약 9000만km에 이르는 거대한 고리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은 J1407b 상상도다. Ron Miller 2013년 ... ...
'1400도 불 뿜어도 반대쪽은 멀쩡' 초강력 단열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이용해 내부에 나노 크기의 규칙적인 빈 공간을 가득 만드는 방법으로 무게는 거의
존재
하지 않으면서 열과 충격에는 강한 새로운 형태의 단열재료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4일자에 발표했다. 단열재는 보통 내부에 미세한 공간을 많이 만드는 방법으로 열과 충격을 막는다. 스펀지나 ... ...
"수고했어. 오퍼튜니티"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20만건 전송…물
존재
확인 등 공적 오퍼튜니티가 촬영한 자신의 모습. 여러장을 촬영해 합성했다. 미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선 ‘오퍼튜니티’가 15년간의 임무를 마쳤다. 오퍼튜니티는 지난해 6월 10일 마지막 신호를 보내고 통신이 두절됐다. NASA는 13일 오전(현지시간) ... ...
유석재 핵융합硏 소장 ”플라즈마 1억도 달성은 두 번째 마일스톤 넘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는 1952년 수소폭탄 실험으로 수학, 물리학 공식으로만
존재
하는 이론이 현실 에너지로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두 번째 단계가 바로 핵융합 반응을 지속하기 위한 1억℃ 이온온도 조건을 장치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국가핵융합연구소가 개발, 운영중인 KSTAR가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