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안전장치에 숨겨진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같은 0.1~0.2초 사이에 일어나며 충돌과정은 총 3단계로 나눈다. 충돌 할 때 자동차 앞
부분
(크럼플 존)이 찌그러지면서 자동차가 받는 충격력(힘)을 줄이는 과정이 1차 충돌이다. 자동차가 벽이나 다른 차와 충돌하면 승객은 관성에 의해 0.1초 이내로 튕겨져 나가 핸들, 앞 유리, 좌석과 같은 자동차 내부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② 기압과 관련해 실험할 때는 바늘구멍처럼 미세한 틈만 존재해도 실패한다. 캔의 윗
부분
은 틈이 생기지 않도록 테이프로 꼼꼼히 막아준다.알루미늄캔으로 만든 모자!알루미늄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성이 크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와 잘 반응한다. 하지만 ... ...
원자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적합한 학문이다. 특히 이 전공은 20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해 아직 개척할
부분
이 많은 분야이다. 따라서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를 하는 학생에게 적합하며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는 응용학문이므로 자세가 필요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국내외 ... ...
유전의 핵심은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폐렴쌍구균 실험으로 DNA가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DNA의 양을 증폭시킬 수 있는 PCR기술을 통해 생명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DNA는 종을 결정짓는
부분
과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
으로 이뤄진다.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거북으로 무려 125회에 달하고 최대수명도 약 175년이다. 세포의 분열 횟수는 DNA의 끝
부분
에 배열된 유전자의 암호와 관련된다.”라고 말했다.유전학 이론이 대중에게 소개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 역시 바뀌고 있다. 앞서 언급한 영국의 저명한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생명의 목적과 본질은 DNA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같은 육종 덕분에 추석에도 크고 단 배를 맛볼 수 있게 됐다.국내에서 재배하는 배는 대
부분
동양배. 서양배나 중국배에 비해 육종이 쉽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정희 박사는 “동양배는 교배한 뒤 적어도 5년이 지나야 과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수량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 ...
버려진 TV서 인체조직 재생물질 ‘쪽쪽’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난해보다 21%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연구팀의 제임스 클락 교수는 “LCD 패널의 많은
부분
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것이 중요하다”며 “묻거나 태우기 위해 투입되는 노력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고말했다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수능력이 있는 합성섬유 수지를 섬유에 바르는 방식으로 타폴린을 만든다.“대
부분
의 텐트나 타프는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해 방수능력을 높여요. 텐트나 타프에는 ‘내수압 3000mm’와 같은 표기가 있는데, 내수압이란 텐트나 타프에 쓰인 원단의 방수능력을 알려주는 수치예요.” 지름 10mm의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측심기는 고주파를 이용한다. 고주파는 저주파와 달리 맨 처음 만나는 장애물에서 대
부분
튕겨 나간다. 따라서 다중빔 측심기를 쓰면 수심과 해저 지형의 겉모습을 샅샅이 알아낼 수 있다.다중빔 측심기는 아라온 호의 선체 좌우에 달린다. 수면 근처에서 해저를 향해 고주파를 쏴 스캐너처럼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빛이 표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플라즈몬파를 만든다. 그런데 슬릿의모양을 조절하면 특정
부분
에 플라즈몬파가 집중돼 전기장이 더 센 영역인‘핫스폿(hot spot)’을만들 수 있다.또한 슬릿의 모양에 따라 핫스폿이 여러 군데 나타나도록 만들 수도 있다. 이 교수는 “핫스폿을 이용하면 전기장 세기를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