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전문가들은 북한이 실험한 방식을 내폭형으로 보고 있다. 포신형은 핵물질을 두
부분
으로 나눠 저장한 뒤 폭약을 터트려 포탄을 쏘듯이 핵물질 덩어리를 합쳐 임계질량에 도달하게 만드는 방식이다.북한 우라늄 농축과 플루토늄 재처리 했나?지난 6월 12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대북제재결의안 187 ... ...
여름밤 당신의 뇌파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모르게 갑자기 잠이 쏟아진다고 해서 ‘수면발작’이라고도 부른다. 수면발작은 대
부분
깨어 있는 상태에서 1, 2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깊은 수면 단계로 진입하면서 나타난다.최근 코모키수면센터 신홍범 원장 연구팀은 호주 시드니대 뇌과학연구소 김종원 박사팀과 함께 기면증 환자의 뇌파 ... ...
차세대 검색기술이 바꿀 웹 세상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쓸 수도 있다. 이런 설명 자료를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라고 부른다.현재 대
부분
의 검색엔진은 이미지를 찾을 때 메타데이터를 이용한다. 엄밀히 말하면 이미지 자체가 아니라 이미지에 연결된 문서를 검색한다는 뜻이다. 결국 실제 이미지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아니라 이미지를 올린 사람이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띠는데, 물 분자가 금속결합을 하고 있는 금박과 만나면 전기적으로 중성인 금박에서
부분
적으로 전하가 쏠린다.결국 금박의 특정 부위의 금 원자는 전기적으로 양전하를 띠고 일부는 음전하를 띠며 금 원자 사이의 인력 때문에 서로 엉기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또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된 물은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우려와 전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들 수 있다. 현재 대
부분
의 학교에서 ‘해당사항 없음’으로 대강 넘어가는 이
부분
을 채우려고 노력한다면 학생들은 모든 과목에 집중할 것이다. 결국 교사는 수업을 주도하는 동시에 학생을 평가하는 역할이 생겨 무너진 교권이되살아난다는 말이다.또 사교육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미국에서 인공와우 시술을 받을 경우 약 2만 5000달러가 들어요. 그런데 그 비용의 상당
부분
을 정부가 지원합니다. 청력을 회복한 사람들이 경제활동 인구가 되면 국가경제발전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신경보철 산업의 발전은 곧 사회적·경제적인 흐름으로 이어진다는 데서 많은 의미가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H5형 바이러스의 HA는 이
부분
의 아미노산 염기서열이 바뀌어 있고 그 결과 숙주의 몸 대
부분
에서 발현하는 푸린(furin)이란 효소에 의해서도 잘 잘린다. AI 바이러스가 전신으로 퍼지는 이유다.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많은 사실이 밝혀졌지만 아직까지 그 전모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만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처럼 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이렇게 밝혀진 유전자 후보들의 기능은 아직 대
부분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희 연구결과는 개별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주제일 수 있습니다.”이종영 박사의 설명이다. 키 관련 유전자의 경우만 봐도 HMGA1이 세포분열을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재료가 탄생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품을 복원할 때에는 현 시대에 수정한
부분
을 수백 년이 지난 다음에도 떼어낼 수 있도록 살짝 붙이고, ‘알려진 재료’만을 사용해야 한다. 또 복원 과정에 대한 정확한 기록과 자료를 남기는 일도 중요하다.그리고 서양화 복원을 전공한 주인공이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 작은 배 속에도 분명히 항문으로 연결된 소화관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입과 연결된 대
부분
의 소화기관이 배 대신 머리가슴 속에 들어 있으므로 창자가 없다는 말은 맞지 않다.횡행개사는 옆으로 걷는 게의 습성과 관련이 있다. 옆으로 걷는 걸음을 흔히 ‘게걸음’이라고 표현하듯 게는 4쌍의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