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과 빛의 회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슬릿을 통과한 빛은 밝고 어두운
부분
이 교차하는 회절 무늬를 만든다. 회절무늬는 슬릿의 열린 틈 양 끝으로부터의 거리 차와 빛의 파장과 관계된다. 망원경은 빛의 회절현상 때문에 분해능이 낮아진다.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로봇을 슈퍼휴먼이나 포스트휴먼 같은 인격체로 간주하며 위험성을 말하지만, 대
부분
의 로봇 전문가들은 로봇을 자동차나 강아지처럼 인간에게 편리함이나 즐거움을 주는 대상물이라고 본다. 오 교수는 “손발이 불편한 노약자가 목욕을 해야 할 때 봉사자한테 시중을 받는다 해도 수치심을 느낄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레일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를 보면 레일의 머리와 받침
부분
이 가장 크고, 기둥의 옆
부분
이 가장 작다. 결국 레일의 기둥은 재료를 아끼는 차원에서 얇게 만드는 셈이다.KTX 선로에 터널이 많은 이유등급마다 달라지는 선로의 또 다른 특징은 곡선반경이다. 철도건설규칙에서는 4급선에서 1급선으로 ... ...
공룡 화석 발굴 키트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데 약 한 시간이 걸린다.점토블록을 부술 때는 깨뜨리고 싶은
부분
에 끌을 대고 그 뒷
부분
을 망치로 두드린다. 공룡 화석은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힘을 주면 부서질 수 있다. 화석이 어느 순간에 어디서부터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조심조심 깨뜨리는 재미가 쏠쏠하다.화석이 드러나기 ... ...
머릿속이 투명한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구멍이 눈이라고요? 아쉽게도 그건 콧구멍이랍니다. 투명한 머릿속에 들어 있는 초록색
부분
이 바로 눈이에요.정말 희한하게 생긴 이 물고기는 깊은 바다 속에 사는‘배럴아이’라는 물고기예요. 1939년에 처음 발견되어 관처럼 생긴 눈이 빛을 잘 모은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하지만 그 동안에는 ... ...
은반 위의 과학! 피겨스케이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마찰력이 아주 작기 때문이야. 또한 스케이트 날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얼음과 닿는
부분
을 일시적으로 녹여서 물로 만들기 때문에, 스케이트 날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단다. 드디어 대회가 끝났어. 과학자인 나를 왜 피겨스케이팅대회에 심사위원으로 초대했는지 이젠 알 것 같아. 열심히 심사한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한번 나타나는 ‘단일봉 형태’로 식중독 역학조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식중독은 대
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지 않고 모든 사람이 동시에 오염된 음식을 먹기(질병의 원인에 한 번 노출) 때문에 봉우리가 한 개인 형태가 많다.오염된 음식을 먹은 뒤 가장 먼저 식중독이 발생한 사람은 질병의 ... ...
[신경과학] 명상 오래하면 감정 다스리기 쉬운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부피가 더 크다는 사실이 드러났다.회백질은 뇌에서 뉴런(신경세포)이 모여 있는 회백색
부분
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감정에 변화가 생기거나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때, 식욕 같은 욕구가 생길 때 오른쪽 눈 바로 뒤에 있는 안와전두피질이 활성화된다.반면에 안와전두피질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먼저 스톨 상태에 들어가도록 돼 있다. 커나드가 스톨 현상을 일으키면 기체의 앞
부분
은 양력을 잃고 기체를 숙이게 되고 주날개의 받음각이 줄어들어 기체 전체는 스톨 현상에 빠지지 않는다.안전성 높이고 항공운항 관련 법규 마련 필요해자동차와 비행기, 두 얼굴의 트랜지션은 태생적으로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상아질뿐 아니라 백악질, 치수, 치주 인대 등을 재생하려고 연구 중이다. 왜 치아를
부분
적으로 재생하려고 할까. 박 교수는 “백악질이 사라지면 이가 시린 풍치가 발생하고 치주 인대가 버티지 못해 이가 내려앉는다”며 “백악질이 있어야 치주 인대가 치아와 뼈 사이에 직각으로 박히기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