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60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씨위드'가 만드는 배양 한우육 '씨미트'은 안전성을 위해 해조류에서 추출한 천연
물질
로 지지대를 삼는다. 자료 제공 에이티커니 배양육의 가장 큰 문제는 여전히 비싼 가격이다. 지난 2013년 첫 배양육을 시연한 마크 포스트 교수 연구팀은 약 140g의 소고기 버거를 만드는 데 25만유로(약 3억300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제공 지난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
을 개발해 백신 스타트업인 휴벳바이오에 기술을 이전했다. mRNA(메신저 리보핵산)를 이용한 화이자, 모더나의 백신과 달리 유전자를 조합해 인공적으로 만든 코로나19 항원 단백질을 사용한다. 연구에 참여하는 ... ...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최소 34개국서 확인...남아공발도 국내 포함 4개국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안으로 들어가 복제가 된다”며 “이런 복제가 일어날 때 마다 바이러스마다 새로운 유전
물질
이 생긴다”고 말했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변한다는 설명이다. 마리아 반 케르코베 WHO 코로나19 기술책임자도 “바이러스 확산이 길어질수록 변이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통해 수 nm 크기의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을 관찰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물질
에 조사해 원자 구성을 알아내는 현미경이다. 이 관찰결과를 기반으로 3D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의 밀도를 지도화했다. 밀도에 따라 물이 얼마나 투과되는 지도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밀도 요동이 물 투과 정도에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촬영한 은하단에서 왜곡된 은하를 찾아 암흑
물질
의 존재와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암흑
물질
연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차세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불리는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보다 훨씬 먼 150만km 상공, 라그랑주 제2점(L2)에 설치될 예정이다. 라그랑주 L2 지점은 태양이 지구를 ... ...
2020년 코로나19 말고 이런 연구도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0억~70억 년 전 우주먼지를 처음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우주먼지를 지구에서 발견된 고체
물질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학계에 보고했다. ○ 에펠탑보다 높은 500m 산호초 호주 해저에서 발견된 높이 500m 산호초. 에펠탑보다 높다. 슈미트해양연구소 제공 또 세계 최대 산호초 지대로 꼽히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RNA라는 분자가 아니라 화학
물질
이나 단백질을 직접 사용한다. 왜냐하면 RNA라는
물질
자체가 불안정하고 세포 밖에서 쉽게 분해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세포내에는 이렇게 불안정하지만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RNA를 보호하기 위해 수많은 단백질들이 RNA에 붙어 RNA의 정보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 ...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내년에는 조금 더 희망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만성췌장염치료제 ‘호이스타정’을, JW중외제약이 항암제로 개발하던 신약후보
물질
‘CWP291’을, 신풍제약은 항말라리아제 ‘피라맥스’ 등을 개발 중이다. 종근당의 나파벨탄 경우 내년 1월 중하순 식약처에 코로나19 치료제로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 ...
배터리 필요 없고 더 민감한 자외선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외부 전력이 필요한 것도 단점이다. 연구팀은 태양전지 소재로 쓰이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을 센서에 이용했다. 자외선을 흡수하면 발생하는 전류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외부 전류 없이 자외선을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자외선에 강한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찾아내 보호막도 없앴다.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기존 두
물질
을 이루는 결합구조나 조성과는 다른 새
물질
이 생겨납니다. 두
물질
의 경계면은 새로운 소재가 생성되는 보고(寶庫)인 셈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미래소재연구단과 함께 앞으로 한국의 소재 산업을 이끌 미래 소재의 깜짝 놀랄 세계를 연재로 소개합니다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