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표면"(으)로 총 4,0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14.01.23
- 통과할 때 일어나는 현상에 주목했다. 빛은 자신의 파장보다 작은 구멍을 만나면 금속 표면의 전자와 공진하면서 통과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강한 전자기파는 ‘나노횃불’처럼 작용해 주변을 관찰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실제로 연구진은 200~40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멍이 ... ...
- 조류독감바이러스, H5N8과 H7N9의 경우동아사이언스 l2014.01.20
- 단백질의 한 영역(왼쪽에서 두 번째 그림이 분자구조로 오른쪽 위 회색 원)이 숙주 세포 표면 당단백질의 시알산과 갈락토스 결합을 인식한다. 조류독감바이러스의 경우 알파2,3-결합을 인식해 달라붙고(오른쪽에서 두 번째), 인간독감바이러스의 경우 알파2,6-결합을 인식해 달라붙는다(맨 오른쪽). ... ...
- 철새 V자 대형의 비밀은 '상승기류'동아사이언스 l2014.01.19
-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국 예일대 물리학과 데이비드 드밀 교수는 "전자 표면의 변화를 더 자세히 관찰한다면 다른 결론을 얻을지 모른다"며 "지난 세기 현대 물리학을 이끌어 온 표준모형 이론이 우주를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만큼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 ... ...
- 유리가 빛·오염물질 ‘스스로 차단’ 하네동아사이언스 l2014.01.14
- 연구팀은 은 나노선을 배열할 때 여러 방향으로 기울이며 경사각도를 조절해 본 결과, 표면에 평행하게 은 나노선을 배열할 때 전자공명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도 발견했다. 경사각 0도로 은 나노선을 배열했을 때 광촉매의 효율성이 가장 높다는 말이다. 박인규 교수는 “새로운 ... ...
- '꿈의 소재' 그래핀보다 더 좋은 소재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4.01.14
- 표면에 몰리브덴이 들어간 화합물을 주입하면 몰리브덴 원자가 금과 섞여 얇고 균일한 ‘표면합금’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여기에 황화수소를 넣으면 몰리브덴만 바깥으로 빠져나와 2차원의 이황화몰리브덴이 만들어지는 방식이다. 금 박막의 모양을 조절하면 이황화몰리브덴을 ... ...
- 달나라 ‘옥토끼’ 바쁜 나날동아일보 l2014.01.13
- 창어 3호가 찍었다. 중국과학원은 10일 또다시 위투호의 모습과 창어 3호가 찍은 달 표면 사진을 공개했다. 베이징=신화 뉴시스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주미 中대사 “아베 ... ...
- 금으로 해리포터의 '투명망토'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4.01.08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계행 선임연구원팀은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구형의 금 나노입자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지금까지 개발된 나노입자 합성법으로는, 팔면체나 막대 모양을 만들 수 있었지만 모서리와 각 때문에 비대칭적으로만 만들 수 ... ...
- 줄기세포 분화촉진법 서울대 연구팀 첫 개발동아일보 l2014.01.08
-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나노지지체란 줄기세포가 붙어서 자랄 수 있는 일종의 피부나 표면같이 생긴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은 두께 55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미세한 나노입자들이 이어진 ‘나노 실’이 모여 만들어진다. 특히 이번 연구는 지난해 6월 29일 미국 하와이 학회 출장 중 ... ...
- '인류의 폭주기관차' 지구 온난화, 예상보다 심각동아사이언스 l2014.01.06
- 기온이 적게 상승할 거라고 예측한 모델 대부분은 수증기가 비구름을 만들지 않고 다시 표면으로 돌아오는 경우를 다루지 않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수증기가 비구름을 만들지 못할 경우 높은 고도의 수증기가 줄어 구름의 양이 감소하는 원인이 된다. 구름이 옅어지면 지구에 유입되는 ... ...
- "외계인 있을까?" 지구와 무게 같은 행성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4.01.06
- 된 가벼운 기체들로 수 백km 이상 두텁게 형성돼 있기 때문으로 추측했다. 또 행성 표면온도가 약 104도로 높은 편이라 생명체의 생존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행성을 찾기 위해서는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의 중력이 가운데 있는 항성에 영향을 미쳐 진동하게 하는 ‘섭동현상’을 관측해야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