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인류는 마침내 무한을 수학적으로 정의했고, 유한집합의 성질이 무한집합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무한이 무엇인지 확실히 모르면서 무한급수와 미적분을 연구했던 수학자들과 달리 지금은 고등학교부터 무한을 배운다. 하지만 무한은 아직 미지의 세계다. 지금도 인류의 상 ...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학생들도 좀처럼 수학에 다가가기 힘들어하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는 “수학은 모든 과학 분야와 깊이 관련이 있다”며, “시험이나 입시를 위한 공부에서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는 공부를 해야 한다”고 실생활에서 수학을 찾아 공부하라고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진정한 전문성을 갖추게 됩니다.” 수학교육 현장지원단 연구책임자였던 이경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수학 교육이 앞으로도 꾸준히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이 관객처럼 수학을 지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설계하고 해결하는 ... ...
- [과학뉴스] 다친 친구를 구조하는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친 친구를 부축해 집으로 돌아가는 훈훈한 모습이랍니다.최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연구팀은 ‘메가포네라 아날리스(Megaponera analis)’라는 아프리카 마타벨레 개미가 전투 중 부상당한 친구를 버리지 않고 구조하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들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살며 하루에 2~4번, 200~500마리의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만드는 게 최종 목표”라고 말했어요. 폭탄을 찾는 용감한 시금치?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이 시금치를 이용해 땅 속에 묻힌 폭발물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는 방법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준이 높을수록 근시일 확률이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2년제 이상 대학을 다니는 남성이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남성보다 근시가 많았다(doi:10.1167/iovs.12-10106). 이것은 책이나 스마트폰을 근거리에서 보는 행위가 근시 발병을 높인다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 교수는 “먼 거리에 있는 사물을 보다가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적도와 가까운 열대 바다에 자리 잡은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지에 지난 8월 고등학생과 대학생 6명으로 이뤄진 ‘장영실주니어연구단’이 나타났다. 이들의 8박 9일을 동행 취재했다. 장영실주니어연구단, 바다에 흠뻑 빠지다장영실주니어연구단은 해양생물부터 기후까지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Q. DGIST의 강점은 뭔가.앞으로는 ‘대학 타이틀’이 중요하지 않다. ‘블라인드 채용’이 대세가 되는 것만 봐도 그렇다. 결국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고, 이런 측면에서 융복합 인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는 더욱 커질 것이다. DGIST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통해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한 발달 잠재력을 가진 세포로 만드는 논문이었습니다. 당시 대학생이었던 저도 ‘아, 이런 방법이 있을 수 있구나’ 하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야마나카 교수팀은 먼저 배아줄기세포가 발달 잠재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 24개를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이 ... ...
이전3853863873883893903913923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