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숨어있는 독도강 작가가 한글을 작품에 도입한 건 우연한 계기였다. 미국 메릴랜드 예술대학교에서 유학하던 시절 한 주제로 3가지 디자인 패턴을 만드는 과제를 수행했다. 평소 표현해보고 싶었던 ‘독도’를 주제로 정하면서 패턴 중 하나를 한글을 이용해 만들었다. ‘동쪽 끝 섬 독도’라는 글을 ... ...
- Intro. 공평하게 나눠드립니다! 다솔로몬의 분쟁상담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내 이름은 다솔로몬. 지혜로운 분배의 아이콘이지.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쌍쌍바를 똑같이 잘라달라는 자매부터 닭 다리를 두고 싸우는 형제까지 평등하게 나눠주지 못한 적이 없고 해결하지 못한 분쟁이 없는 사람이야. 내 도움이 필요한 손님이 또 들어오는군. 보아하니 동생이 오빠에게 쌓인 게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미 전체 화장실의 70%가 성중립화장실이고, 미국도 백악관을 포함한 정부 기관과 대학가를 중심으로 성중립화장실을 만들고 있어. 화장실을 잘 분배하려면 수학만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고려도 필요하겠지. 트랜스젠더★ 육체적으로는 남성으로 태어났지만 스스로 여성이라고 생각하거나,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촘프는 미국의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게일이 만든 게임이에요. 게일은 게임이론, 램지이론 등을 연구하면서 촘프, 브릿짓 같은 보드게임도 만들었어요. 촘프는 ‘음식을 쩝쩝 먹는다’는 의미 그대로 초콜릿을 먹으면서 하는 게임이지만, 모양이 비슷한 블록이나 바둑돌같이 간단한 도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생물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요.최근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와 위스콘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최초의 동물로 ‘빗해파리’가 더 유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새로운 유전자 분석법으로 동물의 관계를 다시 확인했지요.연구팀은 모든 생명체가 공통적으로 갖고 ... ...
- [과학뉴스] 수천만 년 전 원숭이의 적혈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 진드기가 나무 수액에 갇혀 호박 화석이 돼 버린 거예요.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이 화석을 발견했답니다.연구팀은 이 화석을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진드기 등에 난 두 개의 구멍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원숭이가 진드기를 손톱으로 눌러 죽였을 때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제3호에 발표한 논문 ‘공학 분야 역할모델의 현황과 전문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의 실질적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여성의 비율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계에 부는 ‘걸크러시’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전부 소화할 수 있는 ‘만능 로봇’이 등장했다. 히로시 요시나다 일본 오사카대 공학대학원 특임교수팀이 개발한 ‘두 팔 달린 굴삭기 로봇’이 그 주인공이다. 로봇은 ImPACT 중 하나로 6월 19일 공개됐다. 굴삭기는 붕괴된 건물의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장비다. 그러나 가파른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퇴직금을 지불했어. 하지만 이 돈으로 맛있는 음식을 사 줘야 할, 학교에 보내야 할, 대학교에도 보내야 할, 너는 이제 여기에 없어. 자동주행 시스템을 개발한 회사는 보상금을 주길 거부했어. 모든 시뮬레이션을 다시 돌리고, 블랙박스를 확인하고, 시스템 로그를 분석해봤지만 시스템에는 오류가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뿔공룡의 뿔과 프릴이 짝짓기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어요. 런던 퀸 마리 대학교의 데이비드 혼 박사팀은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프로토케라톱스 화석 37개의 뿔과 프릴의 크기가 나이대 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프로토케라톱스의 뿔이 성장기에는 작았다가 성체가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