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탔는데 왼쪽, 오른쪽에 모두 거울이 붙어 있다. 하나, 둘, 셋…. 양쪽 거울 속에 내가 수없이 많다! 이렇게 거울이 서로 마주 보는 곳에서 빛은 신기한 마술을 부린다. 빛이 보여주는 마술의 세계에 빠져보자!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동하는 빛만화경은 작은 구멍을 통해 원통 안을 들여다볼 때마다 매번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고, 그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더구나 질병 유전자가 있다고 모두 질병이 생기는 건 아니다. 예컨대 유방암 유전자로 알려진 BRCA1이나 BRCA2를 돼지에 이식한다 하더라도 100% 유방암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 면역 기능이 없어 인간의 조직을 이식해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된 인간 세포에서의 실험은 모두 수정되지 않은 줄기세포에서 이뤄졌다. 윤리적 문제 때문이다. 실제로 미토콘드리아를 바꾼 난자가 정자를 만났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 2009년 태어난 마카크 원숭이들은 별 탈 없이 잘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류가 화성에 거주하는 게 목표이기 때문”이라며 “초기부터 비행팀에 여성과 남성이 모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NASA는 4~5년마다 한 번씩 우주비행사를 뽑는데, 2013년에는 여성과 남성을 각각 4명씩 뽑았다. NASA에서 성별을 똑같이 맞춰 뽑은 건 처음이다. 이들은 화성여행을 목표로 현재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모든 파장의 빛을 반사하면 백색으로 보인다. 붉은색으로 보인다는 것은 다른 파장은 모두 흡수하고 붉은색 파장의 영역만 반사시켰다는 의미다.광물이 빛을 흡수, 투과, 반사하면서 나타내는 색은 광물의 화학조성과 결정형태, 포함된 불순물의 종류, 물리적 효과 등에 영향을 받는다. 사진 속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계열 수면제와 같이 GABA의 기능을 강화하는 물질들이 다량 포함돼 있다. 정재훈 교수는 “모두 진정, 수면과 관련된 물질이지만 이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더 정확한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슬로우 카우는 탄산 허브티2010년부터 시작된 에너지음료 유행은 ... ...
-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회로, 그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무선통신 기술, 그리고 베터리까지 모두 얇은 전자피부에 넣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회로·통신을 연구하는 팀과 공동 연구를 계획 중이다.“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는 센서는 아직 부품의 70~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요. 원천 기술이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건 제비의 둥지 모양과 관련이 있다는 설명도 있어요. 제비과에 속하는 4종의 새들은 모두 다른 모양의 둥지를 지어요. 제비는 밥그릇 모양을, 흰털발제비는 입구만 빼꼼히 뚫린 뚜껑 덮힌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좋아하죠. 또 귀제비는 굴뚝이 나와 있는 밥그릇 모양, 갈색 제비는 모래를 파내고 만든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작품이에요. 배의 윗부분은 실제로 만들어 산에 두고 찍었고요. 바다와 배 아랫부분은 모두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었어요. 바다에 오래 머물며 영화를 찍는 건 위험한데다 날씨와 파도를 감독의 마음대로 조절할 수도 없어요. 그래서 최근에는 상당 부분을 컴퓨터 그래픽(CG)으로 만들어요.CG로 만든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얽힌 속설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했다. 물의 양, 조리 시간 등 다른 조건을 모두 같게 하고 스프와 면을 넣는 순서만 다르게 해서 라면을 끓였다. 그 결과 스프를 먼저 넣은 라면이 맛있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그런데 스프를 빨리 넣으면 끓는점이 높아지고 면발이 상대적으로 덜 익어 ... ...
이전3853863873883893903913923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