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치하고 있어요. 이건 지구에서 가장 낮은 위치라서 *무기염이 들어 있는 근처의 하천이 모두 사해로 흘러들어가요. 이렇게 흘러들어간 물은 낮은 위치 때문에 사해에서 빠져나가지 못해요. 그런데 이 지역은 기후가 매우 덥고 건조해요. 그래서 매우 많은 양의 수분이 증발하지요. 결국 물은 계속 ... ...
- [수학뉴스] 수학 질문은 왼손잡이에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검사하는 ‘에든버러 손잡이 검사’를 사용했습니다.연구 결과 놀랍게도 양손을 모두 쓰는 청소년의 수학 성적이 가장 낮았습니다. 나이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가장 높은 수학 성적을 받은 집단은 왼손잡이 남자 학생들이었습니다. 양손잡이가 수학 성적도 가장 뛰어날 거라고 말했던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하기도 한다.3V라는 정의로 보면 우리가 평소에 빅데이터 분석이라고 보던 것들이 모두 빅데이터의 정의에 부합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과거의 데이터만을 이용한 분석 결과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데이터를 이용한 건 아니다. 스포츠 경기에서 승리 전략을 짜기 위해 수집한 상대팀의 경기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다른 것으로 교체되면 돌연변이가 된다. 돌연변이는 자연에서 흔하게 나타난다.개개인을 모두 비교했을 때 염기순서는 일부분만 차이가 나타난다. 30억 쌍 중 0.001% 정도다. 그런데 여기서 달라지는 염기순서에 따라 개인마다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키와 몸무게, 피부색과 눈동자색 등의 생물학적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정확한 크기와 표면, 대기의 상태를 조사했다. 이라고 인정받으려면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해야 한다. 예상했다. 해왕성이 태양을 도는 궤도가 계산한 것과 미세하게 달라, 그보다 더 바깥에 또 다른 행성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그러던 중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가 명왕성을 발견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두 같습니다. 따라서 세 원이 만나는 교점에서부터 원 각각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모두 같습니다. 교점을 중심으로 하고, 교점에서부터 원 각각의 중심에 이르는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상상해 보세요. 처음에 원 위에 표시했던 세 점을 연결한 삼각형이 이 원 안에 딱 들어맞는다는 걸 알 수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어렵습니다. 수업조교 경험, 학회 발표 경험, 다른 연구자와의 공동연구 같은 경험들이 모두 필요합니다. 특히 학회 발표는 이력서에 객관적인 지표로 들어갈 정도로 중요합니다. 내 연구에 대한 조언을 얻거나 공동연구자를 구하려면 학회를 잘 이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해당분야 최신 연구주제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있다), 그리고 그 상대는 어떻게 생겼으며(카메라), 전화번호는 무엇인지(주소록)까지 모두 알 수 있다.해킹의 피해는 개인에서 끝나지 않는다. 이는 특정한 기업이나 단체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월 28일 LG화학은 거대 석유 기업인 ‘아람코프로덕트트레이딩’을 사칭한 e메일에 속아 240억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내가 몸을 왼쪽으로 돌리면 의자는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은 원리다. 세 면에 모두 토커가 달려있기 때문에 이들의 회전을 이용하면 위성의 방향을 3차원으로 조절할 수 있다.자기 토커에는 위성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설치돼 있다. 지구는 하나의 큰 자석이므로 지구의 주변을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 사진)는 포식자가 나타나면 경고음을 내서 다른 개체들이 피신하게끔 도와준다. 모두 혼비백산하는 난장판을 연출해서 포식자를 혼란시켜 결국 경고음을 낸 개체도 이득을 보는지, 아니면 포식자의 눈에 잘 뜨는 바람에 더 잡아 먹히는 손해를 보는지는 1977년에 동물행동학자 폴 셔먼이 이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