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하지만 현대 첨단과학으로 훈련된 인력과 실험 장비는 부족했다. 이들은 발굴지의
위치
와 깊이, 모양 등을 조사하고 유적지에서 나온 50여점의 유물의 구성원소를 밝혔다. 하지만 정확한 연대측정은 어려웠다. 탄소연대측정, 전자현미경 동원몽골국립대는 지난해 말 한국고등교육재단을 통해 뼈와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밝혀진 동기와 행동에 관련된 뇌 부위는 측좌핵(nucleus accumbens)이다. 측좌핵은 뇌 안쪽에
위치
한 기저핵 중 한 부분으로 번연계와 뇌 운동중추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곳이다. 특히 측좌핵의 중심 부위인 심부(core)는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가 있어 반응에 의해 강화되는 학습에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조셉슨 효과를 이용해서 만든 이 소자는 10ps(피코초:1ps=1천억분의 1초)정도 고속스
위치
작동을 한다 이 수치는 실리콘보다 훨씬 빠르며 또 소비전력도 실리콘소자의 1천분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컴퓨터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반사경을 사용해서 빛을 모으는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유발하는 이유에 이렇게 접근한다. 잠재적 기능성의 중요한 정보 중 하나가 바로 태양의
위치
. 우리는 태양이 한 쪽에 있는 게 익숙하다. 그런데 ‘큐브’ 안에는 조명이 사방에서 비친다. 심지어 주인공이 앉아있는 바닥에서도 조명이 올라온다. 도무지 방향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주인공과 관객은 ... ...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역시 중추신경계와 같이 신경세포와 교세포로 이뤄져 있으며, 맡은 역할과 신체 내
위치
에 따라 독특한 구조를 갖고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한다.중추신경계의 세포는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가 분화해 만들어진다. 그럼 말초신경계 조직을 이루는 세포들은 어떻게 생겨날까? 이에 답하기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돌고 있다고 믿어졌다 현재에도 천체까지의 거리와는 관계없이 천구상에서의 천체의
위치
를 생각하는 구면천문학이라는 분야가 있다케플러가 세운 행성운동에 관한 세가지 법칙 즉 행성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공전한다는 것, 행성과 태양을 연결하는 직선의 면적과 ... ...
사람을 구별하는 귀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성공했다. 지금까지 귀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술은 귀에 있는 특정 지점, 즉 귓구멍의
위치
등을 찾아내는 방식이었지만 이번 기술은 귀의 전체 모양을 이용해 사람을 구별한다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전초기지의 순간제어 자이로스코프(CMG) 4개 중 하나를 교체해야한다. CMG는 우주정거장의
위치
를 잡아주는데, 이번에 수리할 CMG가 2002년 망가져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정대로라면 비행 3일째 우주정거장과 만나고 11일째 분리된다. 이와 함께 2008년 수명이 다하는 허블 망원경의 성능을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교수는 “딥임팩트 호에서 분리된 충돌체에는 자동항법장치가 달려 있어 혜성의 속도와
위치
에 맞춰 충돌체의 방향을 수시로 교정할 수 있다”며 “자동항법장치는 1초에 1mm까지 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어 충돌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자동항법장치는 태양과 행성, 밝게 빛나는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용해 자신의
위치
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복어가 선회하거나 물 속에 정지해 있는
위치
제어 능력은 AUV나 ROV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따라서 로봇 물고기는 바로 UUV의 미래 모델로 여겨진다.실제로 1994년 MIT가 진짜 참치 지느러미와 유체역학적으로 거의 비슷하게 설계한 로봇 참치로 실험한 결과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