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밖"(으)로 총 4,4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추위를 뚫고 다녀온 과학동아천문대 슈퍼문 관측회기사 l20161219
- 보았습니다. 과 를 보았는데 담당 선생님께서 자세한 설명을 해 주셔서 더 유익했습니다. 투영관에서 밖으로 나와 진짜 하늘에서 오리온 자리를 찾으니 너무 신기했습니다. 그 다음에 천체관측관에 가서 대형 천체망원경으로 슈퍼문을 관찰하였습니다. 천문대장님이 망원경 속의 슈퍼문을 저희 휴대폰으로 촬영해 주셨습니다. ...
- 《衣(의)紋(문)의 조선》 전시에서 옷의 숨은 뜻을 배우다기사 l20161217
- 동물이나 식물을 수놓은 무늬다. 예를 들면 구름은 권위, 국화는 절개, 모란은 부귀, 다람쥐는 다산, 복숭아는 장수를 의미한다. 이 밖에도 다른 흉배가 많이 있다. 배자는 옛날 조끼로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남녀 공용이며 매듭 단추나 끈으로 묶어 고정하는 형태다. 우리 기자단은 이 전시를 보고 나서, 혼례복 만들 ...
- 어제 워터파크에서 놀았어요!포스팅 l20161217
- 어제 워터파크에서 즐겁게 놀고 숙소 창문으로 밖을 봤는데 아직도 스키를 타는 사람이 있네요! ...
- 추운 겨울~ 직접 내 손을 데울 수 있는 손난로 만들기!기사 l20161215
- 어린이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어린이 기자 이송훈입니다. 어느새 12월 중순! 첫눈까지 내렸다지요! 그런데 밖에 나갔더니, 으으으! 추워! 눈이 내려서 좋았던 기분은 금세 사라지고 온몸이 춥습니다. 그럴 때 생각나는 따뜻한 게 핫초코도 있고, 따뜻한 우유, 목도리도 있지만, 바로 손난로지요! 오늘은 우리가 쉽게 만들고 데울 수 있는 손난로 ...
- [6화] 왕거미가 나타났다!놀이터 l20161206
- 연결됩니다. 거미는 전세계 곳곳에 약 3만 종류나 살고 있대요! 그중에서 사진과 같은 깡충거미는 최근 자신의 몸길이의 600배인 3m 밖에서 들리는 소리도 들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 나왔어요. 미국 코낼대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깡충거미도 청각이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답니다! 하지만 거미 중에는 독을 품고 있는 독거미도 있어 ...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양자역학 part 1 - 나도 벽을 뚫고 지나갈 수 있다?기사 l20161205
- 구덩이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이 골프공이 구멍을 넘기 위하여 몇 조, 아니 몇 경 번 오르락내리락하면 골프공이 벽면을 뚫고 밖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캐나다, 중국, 일본 국제 연구진은 양자상태의 광자를 14.7km 떨어진 곳으로 순간 이동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여러분도 미래에 터널링을 이용해 벽을 통과해 보세요 ...
- 수달연구센터포스팅 l20161201
- 그런데 보니 물이 있었다! 옛날에 수달을 보긴했지만 잘 기억이 않났다. 그런데 오늘 수달을 보니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게 났다. 밖에서 오들오들 떨었지만 수달을 볼때면 추운것이 안느겨졌다. 나는 수달에 대해서 잘 몰랐지만 연구센터 아저씨께서 재미있게 수달에 대해 알려주셔서 집에 오면서 수달 박사가 된기분이었다. 그런데 언니가 무서웠다. 왜냐하 ...
- 엄마, 언니와 다녀온 수달연구센터기사 l20161201
- 보니 물이 있었다! 옛날에 수달을 보긴 했지만 잘 기억이 안 났다. 그런데 오늘 수달을 보니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게 났다. 밖에서 오들오들 떨었지만 수달을 볼 때면 추운 것이 안 느껴졌다. 나는 수달에 대해서 잘 몰랐지만 연구센터 아저씨께서 재미있게 수달에 대해 알려 주셔서 집에 오면서 수달 박사가 된 기분이었다. 그런데 언니가 무서웠 ...
-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1130
- “비상이다! 비상!” 갑작스런 큰 소리에 오로라와 친구들은 하던 이야기를 멈추고 밖으로 뛰어나갔어요. 시원이는 마침 놀란 얼굴을 하고 달려가던 생물반 친구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지요. 그러자…. “사육실에 있던 동물들이 모두 탈출했어!” ...
- 우리 몸의 뼈는 어떻게 생겼을까?기사 l20161127
- 조각조각 되어 있고, 끝이 둥글게 생겼습니다. 그 둥그런 부분에 '연골'이라는 것이 있어서 우리의 뼈가 붙어 있는 것입니다. 또 그 밖을 감싸는 '인대'도 있습니다. Q. 뼈의 갯수는 다 다를까요, 아니면 다 똑같을까요? A. 일반적으로는 뼈의 갯수는 거의 다 똑같습니다. 그러나 돌연변이로 손가락이 한 개 더 많거나, 꼬리뼈가 한 개 더 많 ...
이전3853863873883893903913923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