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trium
나트륨램프
램프
람푸
람프
d라이브러리
"
나트륨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05
하나를 누구에게 줘버리면 쉽사리 바로 옆의 0족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속
나트륨
에 염소 기체를 흘려주면 격렬하게 반응해서 소금을 만드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일은 공유결합이나 이온결합을 하는 모든 원소들이 귀족기체(noble gas)를 꿈꾸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그러고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01
같이 이용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 속에서 정다면체는 얼마든지 있다. 염화
나트륨
(소금)의 결정에서 정육면체와 정사면체를, 명반에서 정팔면체를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아주 작은 해양 동물인 방산충의 뼈대에서는 다섯 가지 정다면체를 모두 찾아볼 수 있다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속이 불편해지고 위에 통증이 생긴다. 소화가 안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럴 때 탄산수소
나트륨
,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염기성 화합물이 포함된 제산제를 먹으면 위산이 중화돼 대부분의 소화불량은 해결된다. 또 소화제에는 제산제와 함께 장의 운동을 도와주는 물질도 포함된다.상처, 화상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09
부르는 알약이다.발포정은 물에 녹이면 기포가 부글거리면서 녹는 약인데, 탄산수소
나트륨
과 산이 함께 들어있다. 발포정은 빨리 용해돼 약효를 나타내도록 만든 것이다. 만약 위에서 흡수돼야 할 약이 빨리 녹지 않으면 장까지 흘러 갈 수 있다. 이런 시간적인 이유 때문에 발포정이 이용된다.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l
199908
위해 켜놓는 수은등은 우리 눈에는 희미하게 보이지만 곤충에게는 밝게 보인다. 반대로
나트륨
등은 사람에게는 밝게 보이지만, 곤충들에게는 어둡게 보여 고충들이 잘 모이지 않는다. 왜 이런 일들이 일어날까.46억여년전 지구가 탄생한 이래 태양빛은 생명체의 진화를 이끌어 왔다. 눈이 없는 ... ...
오토매틱 잠수함
과학동아
l
199908
이젠 잠수함도 오토매틱 시대. 소다와 구연산을 이용해 혼자 오르락내리락 하는 잠수함을 만들어 보자. 물놀이 장난감 준비 끝!■왜 그럴까?잠수함이 물 속에 들어가면 ... 구연산은 3몰의 탄산수소
나트륨
과 반응을 하므로 반응이 잘 일어나는 구연산과 탄산수소
나트륨
의 질량비는 5:6이다 ... ...
소금물 위에 글씨 쓰기
과학동아
l
199907
이온(${Na}^{+}$)과 수산화 이온 (O${H}^{-}$)이 (-)전극쪽에 있게 된다. 이것이 염기성인 수산화
나트륨
(NaOH)용액으로 소금물에 넣었던 페놀프탈레인의 색깔을 변화시킨다. (-)극 쪽의 집게로 글씨가 쓰여지는 이유다.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은 산성과 중성에서는 무색이지만 염기성에서는 붉은색으로 변하는 ... ...
거품 폭탄
과학동아
l
199907
이동해 전자를 내놓고 산소기체(O₂)로 된다.이러한 과정 중에 물에 녹아있는 수산화
나트륨
의 양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 건전지를 연결해 전압을 걸어주면 2개의 물분자가 2개의 수소분자와 1개의 산소 분자로 분해된다.이 때 (-)극과 (+)극에서 만들어진 수소 기체와 산소 기체는 필름통 뚜껑에 연결돼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07
것이 염소계 살균제다. 대체로 하이포아염소산
나트륨
이나 이염화아이소사이아누르
나트륨
이 사용된다. 물 속의 부유물은 여과기를 통해 걸러진다. 그러나 물 속의 오염물질은 사람의 피부로부터 나오는 땀 등의 분비물로 눈에 쉽게 보이지 않는 미세한 것이 많아서 여과기에서 걸러지지 않는다.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07
함께 유해여부가 논란의 대상이다.외상의 소독에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요오드화
나트륨
에 알코올을 녹인 것이 있다. 요오드 화합물은 단백질 내의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으로 들어가 단백질의 구조를 변화시켜 세포를 파괴한다. 요오드 화합물과 계면활성제와의 혼합제는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