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그 연산은 결합법칙을 만족한다고 하는데, 어느 쪽을 먼저 해도 결과가 같으니 순서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하지만 뺄셈과 나눗셈이 들어가거나 덧셈과 곱셈이 섞여 있는 혼합식의 경우 어느 쪽을 먼저 계산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자세 유사도는 얼마나 정확할까요? 김건희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합성곱 신경망으로 사람의 신체를 정확하게 인식하기만 한다면 코사인 유사도로 구한 자세 유사도는 꽤 정확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하지만 사진은 촬영 각도에 따라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AI 홈트 개발사마다 이를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람 몸의 뼈대와 얼굴 특징을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이다. CNN은 시각적 이미지 분석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이다. 쉽게 말하면 컴퓨터가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먼저 이미지에 들어있는 ... ...
- 털, 털, 털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가릴 수 있는 긴 바지만 입어야 하나’… 한창 2차 성징을 겪고 있는 청소년이라면 더욱 신경 쓰이는 일이 많을 텐데요. 그런 독자들을 위해 털이란 존재에 대해 과학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이른바 과학동아 ‘털 고민 상담소’, 지금 시작합니다. ─ Q. 털이 많으면 남성적일까요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참변이 일어나 해군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됐다. 불안정한 정세에 보안이 특히 더 신경 쓰이는 상황에 다행히 해경의 지원을 받아 1단을 무사히 이송할 수 있었다. 1차 발사 준비 경험으로 어느 정도 자신이 있던 나로호 점검 작업 중에도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나로호에 고압 공기와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이나 문자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순환 신경망(RNN·Recurrent Neural Networks)과 달리, GNN에 입력하는 데이터는 그래프이기 때문이다.그래프는 여러 개의 점이 있고, 그 점들을 잇는 선으로 이뤄진 형태다. 그래프를 데이터 관점에서 본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많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난치병인 신경모세포종을 과학자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또 환자 보호자의 시선으로 살펴본다. ● Science Book 동아사이언스가 소개하는 해외의 ...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를 마주칠 수도 있습니다. 지하집모기는 급성 중추신경계감염병인 웨스트나일병을 옮깁니다. 가장 위험한 모기는 일본뇌염을 유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입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빨간집모기와 형태는 거의 비슷한데 크기만 빨간집모기의 75% 정도로 ... ...
- [포토뉴스] 인공신경망으로 묘기 부리는 드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때 경로를 찾는 최적의 방법을 스스로 학습하도록 했습니다. 인공신경망이란 생물의 신경 구조를 흉내내 만든 학습 알고리듬으로, 데이터의 패턴을 쉽게 찾아낼 수있습니다. 그 결과 비슷한 배터리 효율을 보이면서도 곡예 비행을 거뜬히 할 수 있었죠.연구를 이끈 다비데 스카라무차 취리히대학교 ...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인식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것은 눈으로 들어온 빛이 시신경을 자극하고, 거기서 생겨난 전기 신호가 뇌로 흘러가서 각종 계산을 한 결과입니다. 손으로 만져서 느껴지는 감촉도 마찬가지죠. 결국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정보를 통한 계산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겁니다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