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d라이브러리
"
옛날
"(으)로 총 1,32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모든 사람과 주택의 규모뿐 아니라 그 특성까지 파악하기 위해 꼭 필요한 통계조사다.
옛날
사람들도 인구조사의 필요성을 알고 있었다. 기원전 3600년경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 건설에 앞서 인구를 조사했다. 중국에서도 기원전 3000년경 토지를 나누고 세금을 걷기 위해 인구조사를 했다.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별이 떠올랐다. 선원들은 별자리의 위치를 보고 어디로 가야 할지를 알아냈다. 이렇게
옛날
뱃사람들은 별을 길잡이 삼아 항해를 마칠 수 있었다. 수천 년 전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별을 지표 삼아 길을 찾을 수 있었을까?삼각형으로 길을 찾다 지금은 도로가 잘 닦여 있어 웬만한 길은 차로 다닐 수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어 치료에 이용한다”고 말했다. 요즘 봉독요법은 벌을 잡아다 피부에 쏘게 하는
옛날
방식이 아니라 벌침에서 모은 봉독을 주사제로 만들어 사용한다. 배 교수팀은 자생한방병원과 공동으로 봉독의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DNA칩을 이용해 봉독이 염증유발에 관여하는 여러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아치를 쌓아 올렸다. 홍수에 대비해 아래층 아치의 지름과 기둥 수를 제한한 것 이다.
옛날
에 지은 아치교의 아치는 반원 모양이 많다. 다리 아래의 폭과 다리 높이의 비율이 2.0에 가깝다는 뜻이다. 승선교의 비율도 1.94(=9.1m÷4.7m)다. 이러한 아치교는 안정적일 뿐 아니라 보기에도 아름답다. 하지만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옛날옛날
동물세계에는 용맹한 호랑이 나라와 지혜로운 원숭이 나라가 있었습니다. 호랑이 나라에는늠름한 말과 뱀, 소 세 장군이 호랑이 왕을 받들어 힘센 나라를 이루고 있었어요. 원숭이 나라에는 충성스런 쥐와 토끼, 개 세 장군이 원숭이 왕을 섬기며 부자 나라를 만들었어요. 두 나라는 오랜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크다. 어쩌면 지금 이 글을 읽는 젊은이가 노인이 됐을 때는 치매란 천연두처럼 먼
옛날
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는 인체에서 가장 알기 어려운 기관인 뇌의 비밀을 꿰뚫고 있을지도 모른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들 수 있는 거야.’지오는 산학이 신비롭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어쩜 산학이란
옛날
이야기 속에 나오는 산신령의 도술법이나 요술법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임금과 황산사가 산학을 발전시키려고 애쓰며 연월기를 만들려는 이유도 알 것 같았다.황산사에게서 배운 글자들을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아닌 실제 공간에서 정해진 몇 명의 사용자가 서로 소통하며 게임을 한다는 점에서
옛날
공터에서 뛰어놀던 모습과 비슷하다.하지만 게임을 하기 위해 모니터나 막 형태의 스크린을 사방에 설치하기란 사실상 어렵다. 그런 문제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로 해결할 수 있다. 헬멧 또는 머리띠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더욱 강조하는 나라도 있어요. 동유럽의 나라들이 대표적인데 이들 나라에서는
옛날
부터 유명한 수학자들이 많이 나왔어요. 특히 헝가리는 수학교육의 수준이 높아요. 2학년 때 이미 간단한 분수를 배운다거나,5~6학년 때 확률을 계산하는 법을 배우는 식이거든요.이처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학을 ... ...
이상은 필명, 본명은 김해경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한다는 점에서는 똑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 볼수 있지.그래도 뭔가 어색하게 느껴져요.
옛날
에는 철학자가 곧 수학자이자 과학자였어. 지금처럼 철학과 수학이 나눠지지도 않았고, 수학을 잘 이해해야 철학을 할 수 있었거든. 이런 특성은 박사학위 명칭에도 남아 있지. 이공계 박사를 보통 Ph.D.라고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