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층"(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 ...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놀랍게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택, 학교, 아파트, 초고층건물 같은 모든 건물은 고유한 주기로 계속 흔들리고 있다. 흔들리는 범위가 아주 크지 않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 ...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 ...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않는다. 대륙판과 대륙판이 어긋난 산안드레아스 단층, 해양판과 해양판이 어긋난 케인단층이 여기에 속한다. 이곳에서는 천발지진이 일어나며, 화산활동은 거의 없다. 지각변동은 지구 시스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화산폭발로 분출된 용암이 흐르면서 지표를 덮거나 화산 쇄설물이 퇴적되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길이 80m, 폭 27m, 높이 30m인 유로케믹은 영변 재처리 시설의 규모(길이 180m, 폭 20m, 높이 6층 건물)보다 훨씬 작다.재처리 시설은 방사능 준위가 높기 때문에 대부분 로봇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해체할 수밖에 없다. 원격으로 작동하는 크레인과 로봇팔, 톱 등을 설치해 시설을 절단한 뒤, 역시 원격으로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진도 6.58)에 버틸 수 있는 내진설계를 갖췄다”며 “부지 주변을 조사한 결과 활동성 단층은 발견되지 않았고, 홍수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원자핵 들여다보는 초거대 현미경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 기체는 상온에서 초속 460m로 움직인다. 이때 기체 분자의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3D프린터는 가루나 액체 형태의 재료를 가장 아래부터 얇게 한 장씩 쌓아올리는 ‘적층가공’ 방식으로 물체를 만들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꼭 필요하다. 슬라이서가 분석을 끝내면 3D프린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가 나오고, 이를 3D프린터로 보내면 출력이 시작된다. 내가 디자인하고 출력한 물체가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며 “특수약물을 섭취한 뒤 진행해야 하는 양전자단층촬영(PET)과 달리 체내에는 에너지만 흡수됐다 사라지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다”고 설명했다. 라온으로 생성한 다양한 희귀동위원소 빔의 분자생물학적 영향이 규명되면, 향후 이들 빔을 한 데 모아 치료에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안해_1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층에서 사진을 인식하고 이 중 일부 중요한 정보는 다음 층에서 가중치를 얻는다. 각 층을 통과할 때마다 이 작업이 반복되고, 마지막 출력값으로 가장 가중치가 높은, 즉 개발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보호 상황인 경우에는 핸들의 각도 등이 최종 출력값이 된다. 이 값에 대한 피드백은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