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이재형 천문대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파장이 긴 붉은 빛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고 굴절되면서 달
표면
을 비추기 때문이에요. 이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지만 붉은빛이 주위를 감싸는 특별한 보름달을 만날 수 있는 거죠. 이번 기회를 놓치면 내년 11월이 돼야 개기월식을 볼 수 있답니다.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그 위에 레이저로 각도에 따라 색이 바뀌는 무지개 홀로그램 패턴을 새겼지요. 음식
표면
에 시럽을 바르고 굳혀 직접 홀로그램을 새길 수 있도록 한 거예요. 시럽 위에 새긴 홀로그램은 빛을 받으면 다양한 각도에서 무지개색이 나타났어요. 레이저로 새긴 무늬의 간격이나 옥수수 시럽의 설탕 ... ...
[한페이지 뉴스] 상처가 생기면? 따개비 접착제!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혼합하고 연고 형태로 만들었다. 이를 혈액이 흐르는 부위에 바르자, 따개비처럼
표면
에 물질이 달라붙었다. 쥐 실험을 통해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 5초 내에도 단단하게 경화돼 상처 부위를 완전히 봉합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육 연구원은 “의료 환경에서 피가 나는 조직을 봉합할 때는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당이나 수소를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다. 연구팀은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의
표면
에 광 나노입자를 부착해 당이나 수소 없이 빛을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미생물을 만들었다. 광 나노입자에 빛을 쬐면 고에너지 전자가 방출돼 미생물의 아세트산 합성을 유도한다. doi: 10.1073/pnas.202055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1년에 75일(3개 관측소 기준)은 자연우주물체를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다만 소행성은
표면
반사율이 매우 낮아 크기가 작은 경우 지상에 설치된 광학망원경으로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보완하고자 NASA에서 운영하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NEOWISE’ 등으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김 ... ...
[기획] 서핑, 파도의 속도를 예측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따라 펼칠 수 있는 기술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도는 바람에 의해 바다
표면
위의 물 입자가 가속될 때 잔물결을 일으키며 생겨납니다. 잔물결이 점점 더해지면 파도의 파고가 커집니다. 파고는 파도의 최고점(마루)과 최저점(골)의 높이 차이를 말합니다. 파고가 커질수록 파도를 원래의 ... ...
1.5℃ 온난화 20년 이내 도달...피할 길 더 좁아졌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원인으로 꼽혔다. 가령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중 56%가량은 해양과 지구
표면
에 흡수된 것으로 평가됐는데, 이는 해양 산성화로 이어졌다. 해수면 상승 억제 “이미 돌이킬 수 없다”지구 온도가 올라가며 홍수, 가뭄, 폭염 등 이상기후가 전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에 ... ...
[한페이지 뉴스] 순수한 물을 금속으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최종 확인했다. 물방울 색이 변한 것도 금속의 전형적 특징인 자유전자의 플라스몬 공명(
표면
에 입사한 빛에 자유전자가 들떠 공명하는 현상) 때문이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로버트 자이델 독일 헬름 홀츠-젠트롬 베를린연구소 연구원은 “금속성 물이 지구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것과 ... ...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산화된다. 반대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갑자기 늘어나면 전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극
표면
이 부식된다. 이렇게 부하 변동이 짧은 주기로 계속 반복되면 전극이 되돌릴 수 없게 손상돼 수전해 장치의 성능이 나빠진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은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 내구성과 효율이 ... ...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크기의 매우 미세한 나노셀룰로오스를 얇게 펴 투명한 비닐 형태로 만들었어요. 이후
표면
에 발수 코팅 박막을 입혀 물에 잘 녹는 단점을 보완했지요. 진정호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셀룰로오스 포장재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도 자연에서 생분해가 될 수 있어 기존의 합성플라스틱 식품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