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흡수
d라이브러리
"
흡수작용
"(으)로 총 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지난 1500년 동안 개똥쑥은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데 사용돼 왔다.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신(Artemisin)이 말라리아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개똥쑥을 이용한 이 약은 30초마다 한명씩 죽어가는 말라리아 환자들에게 희망을 준다.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최근 전 러시아 스파이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의 사인은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폴로늄210 중독으로 판명됐다. 퀴리 부부가 발견한 이 물질은 자연계에 소량 존재하지만 세계에서 한 해 100g 정도가 원자로나 우라늄 광산에서 생산된다. 방사능: 불안정한 폴로늄 동위원소는 양성자, 중성자, 전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20세기 철학의 지형도를 바꿔 놓은 언어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엔지니어 출신이었다. 19세기 사회사상가이자 경제학자인 칼 마르크스는 고대 원자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철학의 거봉으로 불리는 18세기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우주의 생성을 역학적으로 설명하는 가설을 제시했 ... ...
쑥쑥키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얼짱, 몸짱, 맘짱. 부럽죠? 이런 짱들이 그냥 되는 건 아니에요.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요.“나도 노력하고 싶어! 하지만 어떻게?”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을 거예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것도 문제지만 잘못된 이야기들도 많기 때문이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가 해결해 드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11월 6일 영국과 미국의 연구자들이 획기적인 새 항공기 디자인을 공개했다. 미래의 제트여객기는 연료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소음도 없다.미국과 영국이 공동 제작하는‘무소음 항공기’의 연구팀 단장은“이제 비행장에서 이착륙할 때 세탁기보다 소음이 작은 항공기를 만날 수 있다”고 전했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멀미는 안하셨나요?”ISS를 지키고 있는 우주인들이 반갑게 맞이한다. ISS에 도착한 여러분은 이제 난생 처음 겪어보는 우주생활을 즐길 수 있다. 그동안 사진으로만 봤던 지구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비디오카메라에 담아 보자. 둥둥 떠다니는 사과를 베어 먹으며 우주인들과 우아한 저녁식사도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세계 공동사업인 청정개발체제(CDM)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각 나라는 자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다른 곳에 저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풍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0월 25일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하기 위해 쌍둥이 탐사선인‘태양-지구 관계 탐사선’(STEREO, 이하 스테레오)을 발사했다. 이 탐사선은 코로나 질량 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이라는 태양계에서 가장 격렬한 폭발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암컷의 2개 X염색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한국은 북한의 공격에 대비해 경계 근무를 담당할 수백대의 로봇군인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 로봇은 휴전선을 따라 부족한 병력을 보충할 예정이다.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글리코시드 형의 화합물 디옥시리보오스인 것을 디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라고 한다 후자는 리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고했다, 코비야” - 존 매더, 조지 스무트1990년대였다. 영국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견”이라며 치켜세운 연구가 있다. 세기는 바뀌었지만 호킹 박사의 ‘예언’대로 그 연구가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영예를 안았다.처음 9 분간미국 항공우주국(NASA)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