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확대"(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다녀오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HVEM): 원자구조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기사 l20151214
- 있을 것 같았어요. 애벌레의 단면을 관찰하기 위해 FIB의 양이온빔을 이용해서 아주 작게 직사각형으로 깎아낸 뒤, 그 단면을 2만배 확대해서 관찰해보았어요. 역시 예상대로 1주일간 나름대로의 자연건조된 애벌레는 양이온빔을 잘 견뎌내지 못했어요. 이것이 바로 FIB로 깎아낸 단면을 80001배로 관찰한 장면입니다. 하지만 시료가 완벽하게 건조 ...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작지만 큰 세상기사 l20151209
- 있었던 거네요. 잠자리 날개의 일부분을 3만배로 확대했어요. 징그럽게 펼쳐져있는 돌기의 역할도 궁금하네요. 잠자리의 눈을 3천배로 확대했어요. 정육각형인 잠자리의 눈은 겹눈 2개, 홑눈 3개인데, 이 낱눈 수천 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게 겹눈입니다. 그래서 잠자리가 바라보는 세상은 모자이크같이 엉성하게 보인다고 해요. 비록 잠자리의 ...
- 날아라! 드론! 드론에 대해서기사 l20151129
- 등이 있으며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도 다양하다. 드론은 군사용도로 처음 생겨났지만 최근엔 고공 촬영과 배달 등으로 확대됐다. 이뿐 아니다. 요즘에는 싼 드론도 생겨나서 우리같은 일반인들도 드론을 살 수 있게 되었다. 농약을 살포하거나, 공기질을 측정하는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드론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 드론은 200 ...
- 이번에 소개할 사진은 바로 거미다리에 난 털입니다. 이 역시 COXEM의 SEM으로 1천배탐사기록 l20151124
- 이번에 소개할 사진은 바로 거미다리에 난 털입니다. 이 역시 COXEM의 SEM으로 1천배와 1만배율로 각각 관찰한 것입니다. 절지동물인 거미가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돌아다니는 모습을 본 적이 있으시죠? 그것은 ... 이 털 하나의 폭은 수백 나노미터인데요. 그것은 우리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입니다. 저 강력하고 신기한 털을 만배나 확대 ...
- 세번째 퀴즈입니다. 아래 사진은 어떤 사물의 표면을 실체현미경으로 10배, 15배, 20배탐사기록 l20151117
- 세번째 퀴즈입니다. 아래 사진은 어떤 사물의 표면을 실체현미경으로 10배, 15배, 20배율로 점차 확대한 사진입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너무 쉽게 맞추셔서 난이도를 조금 높혔어요.ㅋ 힌트는.. 1. 다이소 2. 청소 3. 만능 재미로 참여해보세요~^^ ...
-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그냥 심심풀이 퀴즈입니다. 실체현미경으로 10배 확대탐사기록 l20151115
-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그냥 심심풀이 퀴즈입니다. 실체현미경으로 10배 확대했습니다^^ ...
- 귀여운 나방을 봤어요. 사진을 확대해서 그렇지 엄청 작아요.새끼손톱정도ㅈ크기에요.포스팅 l20150701
- 귀여운 나방을 봤어요. 사진을 확대해서 그렇지 엄청 작아요.새끼손톱정도ㅈ크기에요. ...
- 제가 저번에 농구대회에서 준우승 했습니다! 거기서 제일 키큰 사람이 저고,옆에 있는 두 여포스팅 l20150614
- 제가 저번에 농구대회에서 준우승 했습니다! 거기서 제일 키큰 사람이 저고,옆에 있는 두 여자는 같은 팀이에요!확대해서 화질이 좀 안좋지만... ...
- 15조 매미야놀자 수원청개구리 150607-5 기상 날씨 맑고 바람 조금 소음 0 노래탐사기록 l20150607
- 15조 매미야놀자 수원청개구리 150607-5 기상 날씨 맑고 바람 조금 소음 0 노래 4 첫 탐사때 농수로에서 본 개구리인데....잡지는 못해 자세하진 않아요. 확대는 필수 ...
- [5월 우수기사상] 실험으로 알아보는 캡슐에 대해 행동력 있는 구지회 기자가 우수기가상을 받다!기사 l20150605
- 수상했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의 고선아 편집장님은 구지회 기사의 기사를 보고 "본인이 약을 먹다가 생긴 궁금증을 실험으로 확대했다는 점을 칭찬해 주고 싶네요. 스스로 조사하고 탐구한 점을 높이 평가합니다."라며 "다만 탐구 내용과 더불어 캡슐 약의 기원이나 개발자, 약의 변천사 등에 대해서도 조사해서 함께 썼더라면 더욱 풍성한 내용이 되지 않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