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확대"(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학에 만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표본관으로 들어가니, 또 다른 큰 친구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바로 아틀라스대왕나방이었어요. 대왕이라는 칭호처럼 확대하지 않아도 사람의 손보다 더 큰 몸집을 자랑하는 나방이었죠. 표본관을 돌아보니 대왕이나 왕이라는 칭호가 붙은 곤충들은 아주 크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이름들도 많았습니다. 알통다리벌레들은 다리에 알통이 있는 ...
- 우주에 뜬 풍선 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070712
- 공장’ 유전자를 동물에 넣어 광합성을 하게 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아주 작은 미생물이 광합성을 할 것이다. 그러다 작은 동물로 확대되고 결국 소나 돼지도 광합성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 이 때가 되면 소나 돼지가 먹이를 먹지 않고도 식물처럼 물과 미네랄, 비타민만 먹으면 쑥쑥 자랄 것이다. 실제로는 먹기도 하고 광합성도 하겠지만 그만큼 먹이가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크크. 꼭꼭 숨어라, 눈썹 보일라~! 앗! 날 봤어? 정말? 난 원래 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데…. 이런! ‘어린이과학동아’가 날 확대해 보여 줬구나. 난 네 얼굴의 눈썹 모낭 속에 살고 있는 털집진드기야. 다리가 달린 부분이 머리인데 모낭 속에 머리를 박고 네 몸에 필요 없는 죽은 피부세포를 주워 먹으며 살아. 그래서 너에게 아무런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감싸고 있는 껍질이 하나 있단다. 이렇게 강력한 침이 있기 때문에 청바지도 뚫고 물 수 있는 거지. 내가 침을 빠는 모습을 크게 확대해 보니까 나도 좀 무서운걸? 파리, 모기를 잘 잡는 방법! 휙휙, 아무리 잡으려고 해도 잘 잡히지 않지? 우리 파리와 모기는 공기의 미묘한 압력 차이를 금방 눈치채기 때문에 잡기 힘들지. 그래서 구멍이 숭숭 뚫린 ...
- 나를 닮은 로봇 vs 로봇을 닮은 나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사람의 힘으로 하기 힘든 정교한 수술을 돕는 거니까. 일단 몸 속에 내시경 카메라와 로봇팔이 들어가면 의사는 카메라가 찍은 확대영상을 보며 조이스틱으로 로봇팔을 조종하지. 로봇의 움직임이 사람 손보다 정교하고, 수술 후 출혈이 적기 때문에 심장질환이나 전립선암 등을 수술할 때 쓰이고 있어. {tIMG_R12} 사람과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내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볼 수 없는 작은 세계로의 여행이 시작됐다. 현미경으로 코르크 조각을 관찰하며 세포의 존재를 알았고 혈액이나 근육, 정자 등을 확대해 보기도 했다. 그렇다면 생물의 몸을 이루는 세포는 어떻게 생겼을까? 양파껍질을 현미경으로 보면 육각형 모양의 세포가 빼곡히 모여 있다. 면봉으로 볼 안쪽을 가볍게 문지른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둥근모양의 세포가 ...
- 분자는 움직이는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3
- 현미경으로도 보기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는 분자의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분자모형을 이용한다. 만일 분자를 탁구공 크기로 확대한다면 작은 탁구공은 지구만큼 커질 것이다. 지구만큼 커진 탁구공으로 탁구를 하는 사람이 얼마나 커질지 상상해 보자. 고체, 액체, 기체의 분자 배열 상태변화가 일어나면 분자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 대신 분자 사이의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9
- 시작 네덜란드의 안경 제조업자인 리프세이의 두 아들은 우연히 두 개의 렌즈를 적당한 간격으로 두고 멀리 있는 물체를 보면 확대해 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이것을 오페라 감상용으로 사용하려고 했다. {BIMG_r13}1609년 갈릴레이의 망원경 갈릴레이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조합하여 9배 배율의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리고 목성,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1)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떠 있는 어떤 별의 황량한 표면을 찍은 사진일까요? 아니요~. 왼쪽 사진은 부화하기 전의 풀노린재 알을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달의 표면을 굴절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랍니다. 놀랍도록 비슷한 두 세계에는 공통점이 있어요. 모두 맨눈으로는 결코 볼 수 없는 세계라는 점이지요. 너무 작아서, 또는 너무 멀어서 맨 ...
- 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줄기들이 들어있는 셈이다. 내 안에 나와 닮은 내가 끊임없이 존재하는 구조, 과학자들은 이런 구조를‘프랙탈이라고 부른다. 확대할수록 더 복잡해지는 해안선, 더 작은 구름으로 끊임없이 나누어지는 큰 구름 조각, 거대한 나무 모양으로 흐르는 강 등 프랙탈구조는 매우 불규칙하고 복잡하다. 그러나 하나의 형태 안에 그것과 닮은 무수한 형태의 축소판을 ...
이전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