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 주는 생생한 사막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다양한 현상을 관찰하면 우주선을 타지 않아도 우주를 만날 수 있어요. 그래서 전
미국
마우나케아 천문대 등 세계 곳곳의 천문대를 많이 가 보았답니다.”“이제 과학동아천문대 천문대장님과 함께 우주를 직접 관찰해 볼까요?”강연회를 마친 뒤, 기자단 친구들은 옥상에 있는 과학동아천문대로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아랍에미리트(UAE) 드론대회에서 ‘룬 콥터’가 국제부문 우승을 차지했어요. 룬 콥터는
미국
오클랜드대학교 오사마 라와쉬드 교수팀이 개발한 것으로, 물속과 공기를 자유롭게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수륙양용 드론’이지요.드론이 물과 공기에서 모두 자유롭게 움직이기란 쉽지 않아요. 밀도가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수십만 마리의 개미들 밑에 깔려 있으면서도 상처를 입거나 죽지 않거든요.그런데 최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붉은 불개미가 탑을 쌓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완성된 탑을 분석해 그 비밀을 알아냈어요. 붉은 불개미가 탑을 쌓는 과정은 간단해요. 우선 선두에 나선 붉은 불개미는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특징이에요. 그리고 지난 1976년, 프릴의 모양으로 암수를 구별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요.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의 피터 도슨 박사는 프로토케라톱스 24마리의 프릴과 두개골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에 따르면 암컷의 프릴은 좁고, 낮은 각도로 완만하게 두개골과 연결돼 있었어요. 반면 수컷의 프릴은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에휴~, 번번히 수중로봇들만 만나다 보니 피곤해졌어. 그냥 사냥은 포기하고 집에 가서 쉴까 봐. 어? ‘쿵쾅쿵쾅’ 하는 이 소리는 뭐지? 바닷속에서 공사라도 하는 걸까?▲바다 밑 케이블은 내가 책임진다! ‘우리-T’_(우리나라의 수중건설로봇 3총사)•크기 : 6.5m X 5m X 4.5m•무게 : 15~20t•작업 수심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설계에 참여한 10여 명의 과학자 중에는 우리나라 김보연 연구원도 있어요. 현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 과정 중인 김보연 연구원으로부터 오션원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Q. 오션원을 만들게 된 계기가 있나요?저희 연구실에서는 본래 일본의 휴머노이드 로봇 ... ...
[과학뉴스] 바닷물에 강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건축물은 바닷가에 세워진 지 200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파도를 견뎌내고 있어요. 최근
미국
유타대학교 연구팀은 콘크리트 틈으로 스며든 바닷물이 콘크리트를 더 단단하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연구팀은 고대 로마시대의 방파제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채취해 그 구조를 확인했어요. 그 ... ...
[과학뉴스] 바다거미는 소화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차지하는 비율이 땅에서 사는 거미보다 훨씬 커요. 몸의 대부분을 다리가 차지하지요.
미국
몬타나대학교 연구팀은 바다를 탐험하다가 우연히 바다거미의 심장이 매우 약하게 뛰는 걸 발견했어요.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12종의 바다거미를 실험실로 데려왔지요. 현미경으로 바다거미를 관찰한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75% 정도는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전해졌어요. 그런데 이 과정을 연구하기란 어려워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과학자들은 모기로부터 해결점을 찾았어요.모기는 여러 동물의 피를 빨아들여요. 이 피엔 피를 빨린 동물의 유전자뿐 아니라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의 정보도 들어 있지요. 즉, 이 ...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거예요.아르마딜로의 등껍질은 뼈와 비슷한 재질이며, 단단하기로 유명해요. 심지어
미국
에서는 아르마딜로의 등껍질이 총알을 튕겨 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답니다. 천산갑은 아르마딜로와 함께 단단한 등껍질을 가지고 있는 동물로 잘 알려져 있어요. 등껍질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 때문에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