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는 쓸데없는 걱정이라고 일축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하령
박사
는 “백신에 면역증강제를 첨가할 경우 일시적으로 근육통이나 발열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안전성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강석연 과장도 “신종플루의 면역증강제로 쓰인 스쿠알렌은 계절 독감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지식, 그리고 책에 담긴 알찬 내용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에서
박사
후연구원을 지내면서 허블우주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4년 동안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물리학과 교수를 했던 필자의 이력을 부끄럽게 하지 않는다. 또 책의 각 페이지 끝에 필자의 직장이었거나 강연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깥에 나오는 순간, 불순물이 들어갈 수 있고 공기가 닿는 일만으로도 성질이 변한다.이
박사
는 “LCD(액정소자) 이후의 디스플레이 소자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나 미래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할 때도 정밀한 표면분석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대상이란다.진짜 웃음이 행복을 가져온다2001년 미국의 리안 하커
박사
와 대처 켈트너
박사
는 30년 전 대학교 졸업 앨범에 찍힌 여성들의 모습을 연구했다. 졸업 앨범 사진 속에서 진짜 웃음을 지은 여성과 가짜 웃음을 지은 여성을 구분한 뒤 현재 얼마나 행복하게 살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능동적인 행동을 보인 것이다. 이후에도 이같은 시도는 10여 차례 이어졌다.쇼스타크
박사
는 “이번 대회를 통해 한국 연구자들이 매우 젊다는 점을 발견했다”며 “앞으로 한국에서 이 연구가 더욱 역동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글 대전=이정호 기자 sunrise@donga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받은 연구 역시 배경은 자못 심각하다. 스위스 베른대 법의학연구소 스테판 볼리거
박사
팀은 사람들이 싸울 때 맥주병을 휘두르는 경우가 많다는 데서 과연 맥주병으로 머리를 내리쳤을 때 병이 깨지는지 두개골이 깨지는지 알아봤다. 연구 결과 내용물이 다 들어 있을 경우 30J의 충격에너지를, 빈 ... ...
“잠 부족해서 생기는 기억력 감퇴, 약으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잠이 부족하면 기억력과 학습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이 문제를 약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브랜 ... 현상과 그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분자 수준에서 설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벡사
박사
의 연구를 높이 평가했다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다들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탐사를 지휘하는 김현섭
박사
는 싱긋 웃으며 작별의 악수를 나누려고 손을 내밀었다. 온누리호를 뒤로하고 기자는 난디로 이동하기 위해 서둘러 수바공항으로 향했다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러나 20~40초 정도가 지나자 신경세포는 다시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슬러
박사
는 “가려운 부분을 긁고 나서 잠시 후 또 가려운 이유는 신경세포가 활동을 멈추는 시간이 20~40초로 짧기 때문” 이라며 “몸을 긁고 난 뒤 신경세포가 활동을 재개하면서 다시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고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분석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 스탠더드텔레콤연구소의 찰스 가오
박사
가 바로 지수함수적 성장을 이어가는 광통신 연구의 선구자다. 통신의 대상을 음성에서 영상으로 바꾸고 지구촌을 거미줄처럼 연결한 기술이 바로 광통신이다.반도체가 보여주는 지수함수적인 성장은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